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5 22:21 수정 : 2005.08.15 22:22

사설

8·15 민족대축전에 참가한 남·북, 해외대표단이 어제 발표한 ‘일제패망 60년에 즈음한 특별성명’에서 과거의 침략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정당한 배상, 북-일 평화선언의 성실한 실천 등을 요구했다. 광복 60돌을 맞은 시점에서 남과 북, 해외대표단이 대일 공동성명을 낸 것은 의미가 있다. 6자 회담의 재가동과 관련해 북-미 직접 대화가 이뤄지고 있는데도, 북-일 수교협상은 일본인 납치문제로 장기 동결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6자 회담에서 핵문제 해결의 큰 실마리가 풀린다면, 일본은 전후 문제의 총결산을 위해서라도 북한과의 미수교 상태를 방치할 핑계가 없어지게 된다. 40년 전의 한-일 관계 정상화가 단추를 잘못 채워 지금도 삐그덕거리고 있는 만큼, 북-일 수교 협상에서 같은 잘못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남과 북의 진솔한 대화가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남과 북이 지나치게 민족주의적 색채를 강조함으로써 일본을 필요 이상으로 자극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 되지 않는다. 협상에는 늘 상대가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표현을 순화하는 지혜도 필요하다. 성명에서 최근 일본에서 벌어지고 있는 ‘범국민적인 전범 참배운동’이라고 기술한 부분은 공감을 사기에 적절치 않은 표현으로 생각된다.

한편,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는 패전 60년을 맞아 총리 담화를 이례적으로 발표했다. 과거 식민지 지배와 침략에 대해 통절한 반성과 사죄를 표명한다는 내용은 10년 전 사회당 출신 총리인 무라야마 도미이치가 발표한 담화를 그대로 원용하는 수준이어서 새로운 감동을 주지는 않는다. 핵심은 여전히 판에 박은 말을 되풀이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이웃들의 신뢰를 얻는다는 점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