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2.25 19:17 수정 : 2013.02.25 20:59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함께 일할 비서관들을 내정했는데 그 면면이 제대로 발표되지 않고 ‘어물쩍’ 알려졌다. 새 청와대에서 근무할 비서관은 35명 정도라는데 박 대통령이 어제 취임식을 할 때까지도 그 면면이 모두 공개되지 않았다. 준비 부족인지, 박근혜식 인사 스타일인지 알 수 없으나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

청와대 비서관 인선 내용이 알려진 경위를 보면 해괴하기까지 하다. 박 대통령 취임을 하루 앞둔 24일 밤 청와대 대변인과 비서관급 인선 내용이 통신사 등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살짝 흘러나왔다. 정부 출범 전 청와대 비서관을 일괄 발표하던 과거 관례와는 전연 딴판이다.

박 대통령 측근들은 “행정부도 1~2급 인사를 언론에 발표하지 않는 게 관례이고, 청와대 비서관은 그 수가 너무 많다”고 설명했다고 한다. 국민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들 편할 대로 하겠다는 것이다. 청와대 비서관은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며 주요 정책의 집행 상황을 점검하는 비중 있는 자리다. 많은 사람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권부의 일을 얼렁뚱땅 처리하는 것 자체가 비민주적이고 관료주의적이다. ‘어물쩍 인선’의 진짜 이유는 검증과 비판을 피하려는 꼼수임이 틀림없다. 인선 내용을 보면 이를 알 수 있다.

청와대 대변인에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을 내정한 것부터가 ‘불통’ 인선의 상징이다. 윤 대변인은 극우 논객 전력으로 첫 인선 때부터 거센 비판을 받았고, 인수위 시절에도 자질 시비가 끊이질 않았다. 청와대로 불려간 사람이야 감읍해서 충성을 맹세할지 모르겠으나, 그런 인사도 정도껏 해야 한다. 여론의 검증 과정에서 부적격자로 판명난 사람을 청와대 대변인으로 굳이 앉히는 것은 박 대통령 특유의 ‘오기’ 인사라고밖에 할 수 없다.

비서관 인선이 전례 없이 비정상적으로 이뤄진 데는 박 대통령을 15년 동안 지근거리에서 보좌해온 이재만·정호성·안봉근 등 측근 3인방을 소리 소문 없이 청와대 주요 보직에 앉히려는 탓도 있다고 한다. 이른바 ‘문고리 권력’ 자리에 측근들을 중용하는 것에 대한 비판을 피하려 했다는 것이다. 권부의 일은 아무리 감추려 해도 드러나는 법이다. 얕은꾀로 국민의 눈을 가릴 수는 없다.

지금까지의 박 대통령 인사를 보면 너무 걱정되는 수준이다. 청와대와 내각에 이어 비서관 인사까지 탈 없는 인사가 없다. 이런 식의 불통·오기 인사를 계속하면 심각한 민심 이탈을 우려해야 할지도 모른다. 더 큰 문제가 생기기 전에 박 대통령은 인사 스타일, 인사 시스템을 전면 재고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