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3.05 19:08 수정 : 2013.03.06 14:40

영훈국제중의 한 학부모가 학교 쪽에 2000만원 주고 아이를 입학시켰다고 털어놓았다. 그것도 ‘학교 재단 윗분에게 전달해야 한다’는 재단 관계자의 요구에 따라 현찰로 냈다고 한다. 부정입학 차원을 넘는 범죄 행위다. 설령 기부금이라 해도 불법이므로 이 학부모는 불이익을 피하기 힘들다. 따라서 불이익을 감수한 그의 고발은 사실일 가능성이 크다. 영훈중학교가 국제중으로 전환된 뒤 피어오르던 입학 부정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교육청의 특별감사 차원을 넘어 사법당국의 신속한 수사와 심판이 있어야 할 것이다.

영훈국제중의 입학 전형은 많은 의혹을 샀다. 추첨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전형에서도 3분의 1 정도의 신입생이 영훈초 출신이었다. 이보다 더 큰 의혹을 받은 것은 사회적 배려 대상자(사배자) 전형이었다. 삼성그룹 후계자인 이재용 부회장의 자녀가 사배자 케이스로 입학한 것이 드러나 사회적 관심이 집중됐지만, 사실 이 학교는 비경제적 사배자 전형을 기업인 변호사·의사 등 부유층 자녀를 편법으로 입학시키는 통로로 이용했다. 심지어 경제적 사배자 학생의 등을 떠밀어 내보낸 빈자리를 부유층 자녀로 채우기도 했다고 한다. 금품 거래 혹은 학교발전기금 약정 의혹이 제기되는 건 당연하다. 이재용 부회장도 영훈초에 컴퓨터 40대를 기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실 국제중 인가 때부터 제기됐지만, 중등 과정에 이런 학교가 있어야 할 이유는 없다. 조기 글로벌 인재 양성 운운하지만, 영훈국제중 졸업생의 진학 실태를 보면 입시 명문고 진학을 위한 귀족학교일 뿐이다. 2011년 1기 졸업생 154명 중 115명(79.9%)이 외국어고, 과학고, 자사고 등에 진학했고 39명만이 일반고에 갔다. 이렇다 보니 입시부정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학교재단 영훈학원이 시교육청 출신 공무원들을 주요 보직에 앉힌 것은 말썽이 날 경우에 대한 대책으로 보인다. 이 학교장은 교사 자격증이 없는 시교육청 일반직 출신이다. 재단은 특혜를 받을 자격도 없었다. 영훈중이 국제중으로 전환했던 2009년 이전까지 재단은 법정 전입금을 거의 내지 않았다. 대신 학교회계에서 부담하도록 편법을 일삼았다. 그런 학교를 공정택 전 교육감이 밀어붙여 국제중으로 전환시켰다. 공 전 교육감은 그 뒤 별건의 금품 비리로 실형을 살았다.

설립 취지는 온데간데없고, 공교육을 흔들고 부정의 온상이 되는 학교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일반학교로 전환해야 한다. 대원국제중도 같은 차원에서 감사하고 이번 기회에 국제중 문제를 근본에서 재고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