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3.19 19:06 수정 : 2013.03.19 19:06

황철주 중소기업청장 내정자의 자진 사퇴는 박근혜 대통령 인사 난맥상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다. 보안 유지에 급급한 밀실 인사, 사전 검증 소홀,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먹구구식 인사 등 박근혜표 인사의 모든 문제점이 망라돼 있다.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에 이은 황 내정자의 사퇴로 새 정부가 강조해온 ‘창조경제’와 ‘중소기업 살리기’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그동안 박 대통령이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지연 탓에 정상적인 국정운영을 못 하겠다고 푸념해온 점까지 고려하면 더욱 민망한 꼴이 됐다.

황 내정자가 사퇴 이유로 밝힌 ‘주식 백지신탁’ 문제는 기업인 출신을 고위 공직자로 영입하는 상황에서 가장 먼저 챙겼어야 할 항목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런 기본 중의 기본도 소홀히 했다. 청와대는 황 내정자가 뒤늦게 중기청장 취임에 난색을 표명할 때까지도 상황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인사 파동을 두고 ‘정권의 망신’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더욱 이해할 수 없는 것은 황 내정자의 사퇴 이후 청와대가 보인 태도다. 이런 황당한 사고가 벌어졌다면 국민에게 뭔가 설명을 하는 게 정상이다. 어떤 경위로 주식 백지신탁 문제를 놓치고 지나갔는지, 검증 실패에 책임을 질 사람은 없는지, 인사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한 대책은 무엇인지 등 국민이 궁금해하는 사안이 많은데도 청와대는 일절 언급이 없다. 자신들이 필요할 때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시시콜콜하게 설명하면서도 정작 국민이 알고 싶어하는 문제에는 입을 다물어버리는 것이야말로 일방통행식 소통의 전형이다.

새 정부가 의욕적으로 도입한 청와대 인사위원회가 무슨 역할을 하고 있는지도 궁금하다. 청와대는 애초 인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인사위원회를 도입한다고 밝혔으나 아직까지 인사위원회의 인적 구성조차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다만 허태열 비서실장이 인사위원장을 맡고 이정현 정무수석, 곽상도 민정수석, 이남기 홍보수석, 이재만 총무비서관 등이 인사위원으로 참여한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한결같이 박 대통령의 의중을 충실히 따르는 최측근들뿐이다. 이런 인적 구성으로는 인사위원회에 대한 기대도 일찌감치 접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새 정부는 앞으로 공공기관장 등에 대한 대폭 물갈이 인사도 예고하고 있다. 하지만 정상적인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속에서 밀실 인사를 계속하면 제2, 제3의 황철주 사태가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 박근혜 정부의 인사 난맥상을 지켜보기도 이제 지쳤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