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4.12 19:14 수정 : 2013.04.12 21:20

박근혜 대통령이 그제 새누리당 의원을 만난 자리에서 북한에 전격 대화를 제의했다. 어제 방한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도 “핵 없는 한반도를 위해 북한과 대화를 원한다”며 우리 정부의 이런 방침을 지원했다. 우리 정부가 앞에서 끌고 미국이 지원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 지난해 12월12일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이래 4개월 동안 ‘강 대 강’으로만 치달았던 남북대결 국면에 긴장 완화의 숨구멍이 생기게 됐다. 올바른 방향이다. 북한도 적극 호응하길 바란다.

박 대통령의 대화 제의는 시기적으로도 매우 적절했다. 케리 국무장관이 대북정책 조율을 위해 방한하기 직전에, 그리고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통해 긴장을 더욱 높이기 전에 대화의 손을 내밂으로써 최악의 상황을 막을 수 있는 공간을 열어 놨다. 또 미국 및 국제사회의 대화 촉구 움직임에 발맞춰 우리가 주도적으로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는 의지와 능력을 보여줬다. 이에 앞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백악관에서 만나 한반도의 긴장 해소와 대화를 통한 사태 해결을 강조했다. 특히, 반 총장은 회동 이후 <시엔엔>(CNN)에 출연해 우리말로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를 향해 “민족의 궁극적인 평화와 통일을 위해서 대화를 통해서 모든 현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최근 일어난 모든 도발적 행동을 자제하고 대화의 창구로 돌아오길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호소했다.

대화 제의 과정에서 벌어진 외교안보 당국자 간의 혼란에 대해선 아쉬움도 있다. 그제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개성공단 정상화는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성명 발표를 한 뒤 이것이 공식 대화 제의냐 아니냐를 놓고 당국자 간에 서로 엇갈린 해석이 나왔다. 마지막에 대통령이 상황을 정리했지만 이런 혼선은 안팎에서 외교안보 정책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린다는 걸 명심해야 할 것이다.

우리 정부는 이왕 대화 카드를 꺼낸 이상, 추상적인 대화 주장에서 한발 더 나아가 남북 간에 실질적인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제안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당국자 접촉이나 끊어진 직통전화 재개통을 위한 협의 등 쉬운 것부터 풀어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북한의 태도이다. 우선 북한은 미사일 발사 등 추가 도발을 자제해야 한다. 한쪽에서 대화를 제의했는데 미사일로 응수하는 것은 악수하자는 사람의 뺨을 때리는 꼴이다. 이런 도발은 어렵게 찾아온 대화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고 북한의 고립과 궁핍만 가속화할 뿐이다. 본말을 전도하지 않는 북한 당국의 현명한 선택을 기대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