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4.17 19:14 수정 : 2013.04.17 19:14

최근 임명된 이헌수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이 과거 재직 때 비위에 연루된 사실이 드러났다. 지인이 운영하는 화장품 회사에 투자하고 다른 국정원 직원들도 투자하도록 주선했다가, 악재가 있다는 사실을 미리 알고 거액의 웃돈과 함께 투자금을 돌려받게 해줬다는 것이다. 이 사건으로 이 회사는 상당한 타격을 받았고 다른 투자자들의 주식 가치는 깡통이 됐다고 한다.

국정원 기조실장은 예산과 인사를 주무르는 자리로, 국정원 내 2인자라는 소리까지 듣는 요직이다. 내부 직원 수십명이 관련된 비위에 연루된 사람이 어떻게 그런 핵심 보직에 기용됐는지가 우선 의문이다. 특히 공개재판에서 해당 비위와 연관된 내용이 거론될 정도로 주변에 사건이 많이 알려졌는데도 어떻게 인사검증을 통과했는지 신기할 정도다.

이번에 문제된 비위는 사실 지난해부터 언론을 통해 꽤 알려졌다. 지난해 11월 ‘뇌물검사’ 사건으로 김광준 검사가 구속되면서 그 혐의 내용으로 언급됐기 때문이다. 당시 김수창 특임검사는 국정원 직원 출신 안아무개씨의 부인이 자기들 사건을 잘 봐달라며 8000만원을 대구지검 서부지청 차장이던 김 검사에게 건넨 사실을 확인했다. 여기 등장하는 ‘사건’이 바로 이 실장 비위와 관련돼 있다. 이 실장 지인인 화장품 회사 양아무개 대표가 투자금을 훨씬 뛰어넘는 8억여원을 받아간 안씨 부부를 공갈 등 혐의로 고소했고 돈을 돌려달라고 민사소송까지 낸 것이다. 투자를 주선한 이 실장은 지난해 6월 서울서부지법에서 열린 손해배상 소송의 증인으로 나가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스스로 투자 사실이 알려지면 “승진도 못하고 조기 퇴직을 했을 것”이라고 법정 증언할 정도로 자신의 행동이 명백한 비위임을 알고 있었다.

시간이 꽤 지난 일이긴 하나 직원 수십명이 함께 투자했다가 물의를 빚었는데도 국정원 내부에서 아무런 조처가 없었다는 건 조직 기강 면에서도 심각한 문제다. 타성에 젖은 내부 분위기를 짐작하게 하는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원세훈 지우기’ 수준이 아니라 판을 바꾸는 수준의 일대 혁신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방증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청와대가 이 실장의 비위를 알고도 인사를 강행했다는 점이다. 총리와 장관 후보자들이 각종 비리로 줄줄이 낙마하고, 얼마 전까지도 김학의 법무부 차관과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등에 대한 검증 부실로 곤욕을 치렀다. 그래 놓고도 이런 식으로 인사를 하는 걸 보면 청와대는 단순히 검증 기능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조직 운영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절감하게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