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여덟달새 10명이 죽어나간 현대제철 당진공장 |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 어제 새벽 5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제강공장 전로 보수공사를 하다 산소 부족으로 숨진 것으로 보인다. 이 공장에서만 최근 9개월 사이에 10명이 안전사고로 참사를 당했다고 한다. 안전관리를 어떻게 하기에 이런 일이 계속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관계당국은 사고 경위를 철저히 가려 관련자를 엄중 처벌하고, 현대 쪽도 재발 방지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이번 참사의 가장 큰 책임이 안전관리를 부실하게 한 현대제철 쪽에 있음은 물론이다. 참사를 불러온 전로 안 내화벽돌 교체작업은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공사였다고 한다. 그래서 전문 협력업체인 한국내화에 작업을 맡겼다고 하는데, 작업과정에 본사 직원의 관리감독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위험이 따르는 작업을 본사의 관리감독 없이 진행했다면 그 자체가 잘못이다. 아무리 하청업체에 전적으로 위탁한 공사라고 해도 공장 안에서 이뤄지는 모든 작업은 본사의 관리감독 아래 이뤄지는 게 당연하다.
만성화된 현대제철의 안전불감증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 9월 이후 현대제철 공장 안에서 안전사고로 사망한 노동자가 10명이나 된다고 한다. 불과 아홉달 만에 10명이 목숨을 잃고, 그밖의 안전사고도 잇따랐다.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기업이 아무리 고용을 창출하고 수익을 많이 내더라도 그 성과가 노동자의 희생 위에 이뤄진 것이라면 의미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 노동자의 안전을 무엇보다 우선하겠다는 회사 쪽의 인식 전환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때다.
관계당국도 사고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 현대제철에서 안전사고가 잇따르자 민주노총은 현대제철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고용노동부에 요구했다고 한다. 하지만 노동부 천안지청은 특별감독 대신 2주간의 현장감독으로 대체한 것으로 드러났다. 잇따른 참사를 사실상 방조한 셈이다. 이 과정에서 현대제철과 노동청 사이에 부적절한 일이 없었는지도 수사당국이 밝혀야 할 대목이다. 관계당국이 기업의 안전관리 실태를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않을 경우, 이는 곧 노동자의 참사로 이어진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