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5.15 19:17 수정 : 2013.05.15 19:17

여야가 어제 신임 원내대표를 선출함으로써 지도체제 정비를 끝마쳤다. 새누리당에선 ‘원조 친박’으로 불리는 최경환 의원이, 민주당에선 종전 비주류의 지원을 받은 전병헌 의원이 새 원내사령탑에 뽑혔다. 두 원내대표는 1년 임기로 내년 지방선거 때까지 원내 대책을 총괄하게 됐다.

최, 전 두 원내대표는 당내에서 비교적 강성으로 분류되는 인물들이어서 당분간 여야 관계는 험로가 예상된다. 선거 과정에서 최 원내대표는 ‘강한 집권여당’을, 전 원내대표는 ‘선명한 야당’을 기치로 내세운 터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통령 임기 초반 속도감 있는 국정 운영에 주력해야 하고, 민주당은 어찌됐든 제1야당으로서의 선명성과 존재감을 부각해야 할 처지다. 두 원내대표는 정책 수립과 비리 척결 등을 두고 때론 ‘강 대 강’의 대결이 불가피할 수도 있지만, 대국적으로는 민생을 돌보는 생산적 국회상을 위해 대화와 타협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두 원내대표의 우선적 과제는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국민에게 약속한 각종 공약을 입법화하는 것이다. 당장 경제민주화 법안은 6월 임시국회는 물론 정기국회까지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사안이다. 검찰 개혁, 각종 정치개혁 입법, 방송의 공정성 확보 등을 위한 입법도 시급하다. 여야가 대선 공통공약으로 입법에 합의한 83개 법안 중 여태껏 처리된 법안은 19개에 불과하다. 두 원내대표는 취임 초반 소모적인 기싸움으로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이들 법안 처리에 우선적으로 매달려야 한다.

새누리당 최 원내대표의 경우 친박근혜계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한 당·청 관계 수립이 과제로 떠올랐다. 최 원내대표가 각종 입법 과정 등에서 청와대의 의중을 반영하는 데만 치우쳐 당 안팎의 여론을 등한시할 경우 여권 전체가 어려움에 빠질 수 있다. 그가 선거 과정에서 경제민주화 속도조절론을 제기한 것도 우려스럽다. 상황론을 들어 경제민주화 공약을 훼손하려 들면 국민의 심판을 면키 어렵다. 최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과 청와대가 아니라 국민을 보고 원내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민주당은 서울 출신의 전 원내대표가 선출됨에 따라 김한길 대표와 함께 투톱 지도부가 모두 수도권 출신으로 채워졌다. 최고위원을 포함한 선출직 지도부에 호남 출신이 전무한 것은 당의 환골탈태를 위한 몸부림으로 이해된다. 친노 주류의 지원을 받은 우윤근 후보가 이번 원내대표 선거에서도 패배함으로써 당내 지형이 크게 바뀌게 됐다. 전 원내대표는 강한 야당을 추구하면서도 국민의 아픈 곳을 쓰다듬는 생활정치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해주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