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8.21 19:52
수정 : 2005.08.21 19:53
사설
남북이 북쪽 일정 지역의 협동농장을 선정해 2006년부터 남쪽이 육모시설과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기자재, 배합사료, 영농기술 등을 지원하기로 한 것은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뒷받침을 통해 북한의 식량난을 덜어보자는 뜻을 지니고 있다. 그동안 남쪽은 굶주림에 허덕이는 북녘 동포들의 고통을 덜기 위해 쌀, 비료, 농약 지원을 꾸준히 해 왔으나 이는 긴급 구호 성격을 띤 임시방편이었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북한 식량난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업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근본적인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었다.
이번 합의는 협동농장을 선정하고 남북이 공동으로 시범사업을 벌여 운영상의 혁신을 꾀한 뒤, 이를 바탕 삼아 전 지역에 확대하자는 남쪽의 주장이 무게 있게 반영됐다. 협동농장에 농기자재는 물론 영농기술 등을 지원하고, 남쪽 전문가와 기술자들이 필요한 시기에 해당 지역을 방문해 점검하기로 했다. 남북 농업협력을 제도화하는 기틀이 마련된 것이다.
북한의 계속되는 식량난은 영양 결핍으로 인한 어린이 발육 부진 등 숱한 문제들을 낳고 있다. 이런 상황을 방치하면 돌이키기 어려운 민족사의 비극을 불러온다. 통계상으로 드러나는 남북 어린이들의 현격한 체격 차이는 같은 민족으로 보기 어려울 정도로 이미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불행을 막기 위해서는 남북이 힘을 합쳐 북한 농업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고, 민족 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농업을 비롯해 각 분야의 남북 협력이 폭과 깊이를 더해갈 때 민족 동질성이 되살아나고 상호 신뢰가 깊어진다. 이런 우호와 협력이 쌓여 다져질 때 북한 핵 문제 등 한반도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들도 원만히 해결될 날이 다가올 것이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