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7.18 19:04 수정 : 2013.07.18 19:04

국가기록원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본의 존재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북방한계선(엔엘엘) 정국이 또 꼬여가고 있다. 여야 열람위원들은 그동안 두 차례 국가기록원을 찾았지만 기록원으로부터 대화록은 물론 녹음파일도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한다.

대화록의 행방을 두고는 몇 가지 추론이 가능하다. 참여정부에서 기록원으로 이관하는 과정에서 누락됐거나, 이관은 됐지만 그 뒤 폐기됐거나, 보관하고 있지만 찾지 못하는 경우다. 기록원이 대화록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힌 만큼 우선은 앞의 두 가지 가능성에 무게를 둘 수밖에 없다.

만약 기록원에 대화록이 없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경위를 두고는 온갖 추측이 가능하다. 새누리당 일각에선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불리한 기록을 폐기하도록 했을 것이라는 성급한 주장도 나온다. 민주당 일각에선 이명박 정권 때 누군가 삭제했을 것이라고 의심한다. 모두 성급하기 짝이 없는 억측이다. 국가정보원에 한 부를 보관하라고 건네주기까지 한 노 전 대통령이 대화록을 파기하도록 했다고 상상하기 어렵다. 이명박 정권에서 이를 파기할 이유도 별로 없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대화록이 없다기보다 아직 찾지 못한 것으로 보는 게 합리적이라는 견해가 많다고 한다. 국가기록원은 대화록이 없다고 성급히 단정할 일이 아니다. 국회는 오는 22일 기록원을 다시 찾아 대화록의 존재 여부를 최종 확인한다고 한다. 이에 앞서 여야 열람위원과 전문가 등 4명은 주말 동안 기록원에서 검색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그때까지 대화록을 찾으면 다행이지만 설사 검색에 실패하더라도 섣부른 결론은 금물이다. 시간을 충분히 두고 전문가들을 총동원해 끝까지 대화록을 찾아야 한다. 그래도 찾지 못하면 그때 경위를 규명할 방법을 찾으면 된다.

국정원의 대화록 전문 공개라는 상식 밖의 폭거로 촉발된 엔엘엘 정국은 시작부터가 잘못된 것이었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국익을 해치는 일들이 거듭되고 있다. 여야 모두 파장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화록의 유무를 놓고 또다시 끝없는 공방을 벌여선 곤란하다. 성급한 억측은 백해무익할 뿐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