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9.02 19:26 수정 : 2013.09.02 22:11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또 오염수가 새나간 게 확인됐다. 이번에 측정된 방사선량은 최대 1800밀리시버트로, 사람이 4시간 노출되면 죽음에 이르는 수치다. 그런데도 일본 정부는 말로만 사태해결을 외치고 있을 뿐이다. 일본 의회는 방사능 오염수 유출에 대한 국회 심의를 9월 중순 이후로 늦추기로 했는데, 그 이유가 도쿄의 2020년 하계올림픽 유치에 악영향을 줄까 봐서라고 한다.

이러니 이웃인 우리나라 국민의 불안은 갈수록 커가고 있다. 특히 보름 뒤면 추석이다. 차례상에 올릴 수산물이 방사능에 오염된 게 아닐까 하는 공포가 국민들의 마음과 추석 경기를 꽁꽁 얼어붙게 하고 있다.

그런데도 정부가 내놓는 대책을 보면 국민들만큼 심각해 보이지는 않는다. 국내에 수입되는 일본산 수산물은 2만3000t 정도로 국내 소비시장의 0.5%에 불과해 걱정할 것 없다는 식이다. 2일 발표한 내용만 봐도, 일본산 수산물이 국산으로 둔갑해 판매되는지를 집중 단속하고, 남해안 등지의 27곳에서 바닷물을 추출해 방사능 검사를 달마다 하겠다는 정도다.

국민의 불안감은 이런 미시적인 접근법으로 해결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 국민의 97%가 일본 수입상품에 불안해하고, 정부 대책이 미흡하다는 의견이 93%를 넘는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있다.

아예 일본 위험지역의 식품에 대해서는 수입 자체를 금지하는 등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중국은 후쿠시마를 비롯한 10개 도·현의 모든 식품과 사료를 수입중지했고, 대만은 5개 현의 모든 식품을 수입중지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현재 일본 정부가 스스로 출하를 제한한 품목인 농산물 13개 현 26개 품목, 수산물 8개 현 50개 품목에 대해서만 수입 잠정 중단 조처를 취하고 있다고 한다. 방사능 물질 기준치만 하더라도, 세슘의 경우 일본은 100베크렐인 반면, 우리나라는 370베크렐로 오히려 기준치가 더 높은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식약처 등 실무부서만 분주하게 움직일 뿐, 국무총리 등 책임 있는 사람이 팔을 걷어붙이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이래서는 추석 자리가 대정부 성토장이 될지도 모른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