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4.01.03 18:29 수정 : 2014.01.03 18:29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6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내외신 기자회견을 한다. 박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지난해 3월 초 정부조직법 개정안 논란에 대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적이 있지만, 그 이후 공개적으로 기자회견이나 간담회를 하지 않았다. 역대 대통령들이 취임 초 기자회견이나 국민과의 대화를 통해 역점 정책을 설명하고 국민 의견도 청취했던 것과는 너무 대조적이다. 비록 연두 회견 형식이지만 늦게나마 회견을 하기로 한 건 다행스런 일이다.

새해를 맞아 박 대통령에게 주문하는 것은 집권 2년차에는 좀더 적극적인 소통 행보를 보여달라는 것이다. 이번 회견이 그 계기가 됐으면 한다. 때마침 3일 열린 청와대 신년인사회에서는 박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모처럼 자리를 같이했다. 어떤 형태로든 여야가 자리를 함께하는 것은 국민 보기에도 좋고 대화 분위기를 마련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가 “소통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겠다”며 청와대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것도 평가할 만하다. 국정 운영과 소통의 일차적 책임은 대통령과 정부여당에 있지만 야당도 소통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해선 안 된다.

박 대통령이 유념할 것은 소통이 새해를 맞아 일회적으로 이뤄지거나 내실 없이 형식적인 보여주기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박 대통령은 7일에는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 전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찬을 한다고 한다. 공개적이든 비공개적이든 청와대로 사람들을 불러 자주 대화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소통을 무슨 숙제하듯 몰아서 하는 식은 곤란하다. 소통은 일상적으로 꾸준히 하면서 형식과 내용이 잘 조화돼야 한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지난 2일 ‘긴급 기자회견’을 한다면서 단 3줄짜리 회견문을 읽고 기자들의 질문조차 받지 않고 퇴장해 버린 것은 일방적 소통, 형식과 내용을 제대로 갖추진 못한 소통에 해당한다.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통보하듯, 군사작전 하듯 무슨 발표를 해서는 제대로 된 소통이라고 할 수 없다.

대통령이 되면 누구든 국민과 역사 앞에서 엄중한 책임의식을 갖게 된다고 한다. 나라의 존망을 좌우하는 외교·안보를 책임지고, 국민 삶과 직결되는 경제를 살펴야 하는 탓에 대통령은 외롭고 힘든 자리다. 그럴수록 널리 소통하고 의견을 구해야 한다. 일방통행식으로 국정을 운영하고 반대세력과 불통하는 것을 정당화해서는 나라를 제대로 이끌기 어렵다. 진정한 지도자라면 생각이 다른 사람과 널리 소통하고 함께 가도록 이끌어야 한다. 새해에는 박 대통령이 소통하는 리더십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