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08 01:37 수정 : 2005.09.08 10:55

노무현 대통령이 7일 오후 청와대에서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와 회담을 시작하면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사설



노무현 대통령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의 어제 청와대 만남은 애초 예상대로 팽팽한 평행선만 그은 채 끝났다. 서로 “할말을 다 했다”는 것 정도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날 만남은 중요한 현안에 대해 확실히 매듭을 지을 수 있는 계기도 됐다고 본다.

관심의 초점인 연정론에 대해 박 대표는 명확한 거부의 뜻을 밝혔다. “두 당의 노선이 너무 다르다” “한나라당은 그런 권력을 원하지 않는다”는 말까지 했다. 연정의 상대로 지목한 한나라당의 대표가 직접 대통령에게 그 정도로 이야기했으면 노 대통령은 이제 연정론을 접을 때가 됐다.

민생경제 초당내각 구성 문제도 마찬가지다. 민생경제를 챙기는 책임은 근본적으로 정부·여당의 몫이다. 거국내각 구성이 안 돼서 경제가 어려운 것도 아니다. 만약 경제 관련 입법이 필요한 대목이 있으면 그때그때 야당의 협조를 구하면 될 일이지 구태여 거국내각을 구성할 필요까지 있는지 의문이다. 게다가 각종 경제현안에 대한 그동안의 한나라당 태도에 견줘볼 때 부동산 정책 등 현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핵심 경제정책이 후퇴할 가능성마저 있다.

노 대통령이 민생경제 초당내각 구성을 제안한 것은 박 대표가 주장해 온 민생경제 챙기기 주문과 자신이 추진하는 연정론을 절묘히 결합시킨 측면이 있다. 하지만 거국내각 발상 자체에 문제가 있는데다 박 대표 역시 거부한 만큼 노 대통령은 더는 이 문제에 매달리지 않았으면 한다.

박 대표가 지역구도 해소를 위한 아무런 대안을 내놓지 않은 것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지역 문제는 노 대통령이 연정까지 내걸 사안은 아니지만 결코 수수방관할 문제도 아니다. 그런 점에서 “지역감정이 완화되고 있다”는 박 대표의 인식은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