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26 19:00 수정 : 2005.01.26 19:00

교사가 특정 학생의 내신성적을 올리기 위해 시험 답안지까지 대신 작성한 사례가 잇따라 드러나고 있다. 지난해 대학 수학능력 시험 집단 부정행위에 이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점수만을 추구하는 교육 현장의 어두운 면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

답안지 대리 작성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는 범법 행위다. ‘내신 제도의 근본적 문제점 표출’ ‘잘못된 입시제도가 낳은 폐단’이니 하며 초점을 흐릴 일이 아니다. 성실하게 학생을 가르치고 그 결과를 내신 성적에 반영해야 할 교사가 본분을 망각하고 저지른 범죄다. 동료 교사나 학교가 이를 알고도 모른 체했다면 범죄를 방조하거나 함께 저지른 것이 된다.

이런 일이 왜 서울 강남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나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 지역은 ‘교육특구’라고 불릴 정도로 학부모들의 소득수준과 교육열이 높고 온갖 ‘교육 상품’이 넘쳐나는 곳이다. 이번처럼 교사가 학생의 내신성적을 ‘총체적으로 관리’해 주는 것도 교사와 학부모의 유착을 매개로 한 새로운 교육 상품일 가능성이 있다. 학교와 관계 당국의 정밀한 조사와 대책 마련이 있어야 할 것이다.

교육의 본질은 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능력이 최대한으로 발현되도록 이끌고 도와주는 데 있다. 이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는 교사는 학교에 있을 자격이 없다. 학부모 역시 불법·편법에 기대는 것은 오히려 자녀의 앞길을 막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

이번 일이 전화위복의 계기가 되려면 먼저 교사들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 양대 교원단체인 전국교직원 노동조합과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가 자정운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것은 당연하면서도 고무적이다. 어떤 상황에서든 교사가 책임 있는 주체로 우뚝 서지 못하면 건강하고 좋은 교육은 이뤄질 수 없기 때문이다. 교사회나 학부모회를 더욱 공식화하는 등 제도적 차원의 뒷받침도 필요하다. 교육철학이 분명한 교육부총리가 임명돼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