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가 대생을 인수한 것을 두고는 그동안 문제 제기가 많았다. 우선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분리라는 경제개혁의 큰 원칙과 어긋났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화가 걸맞은 인수자격을 갖추지 못했으며, 인수 과정에서 정·관계에 불법로비를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실제로 그당시 한화그룹이 부채비율을 낮추기 위해 분식회계를 한 사실이 금융 당국에 적발됐다. 이번에는 ‘보험사나 보험사가 포함된 컨소시엄’이란 요건을 채우려고 외국계 생보사를 들러리로 끼워넣은 혐의까지 받고 있다. 인수 자격에 근본적인 의문이 일지 않을 수 없다. 한화의 로비의혹 또한 간단치 않다. 인수 과정에서 도움을 받기 위해 청와대를 비롯한 정·관계에 거액의 뇌물을 주었다는 주장이 나왔으나 제대로 밝혀진 것은 없다. 하지만 전 부총리에 대한 로비 시도로 보아 정·관계 로비설은 개연성이 적지 않다고 본다.
검찰의 어깨가 무거워졌다. 명예를 걸고 대생 인수와 관련된 불법과 비리의혹들을 한점 남김없이 파헤쳐야 한다. 검찰은 지난 대선 때 정계와 재계 사이의 거액 불법자금 수수를 들춰내 정경유착의 고리를 약화시킬 중요한 계기를 마련한 바 있다. 그런 자세를 살려 한화의 대생 인수 비리 사건을 엄정하게 처리해야 한다. 국민들의 눈귀가 검찰로 쏠리고 있다.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