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27 22:04 수정 : 2005.01.27 22:04

기아차 광주공장 채용비리 사건에서 권력형 외부 청탁이 드러나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생산계약직 사원을 채용할 때 노조나 회사 간부뿐만이 아니라 유력 외부인사들도 상당수 청탁한 사실을 밝혀내고 심도있는 수사에 나섰으며, 수사 지휘체계를 애초 형사부에서 중수부로 전환했다.

기아차는 외부 추천 몫으로 100여명을 할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외부인사 명단에는 정치인과 단체장, 노동청, 병무청, 경찰 관계자 등 유력자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외부인사의 추천을 받은 응시자의 경우 높은 면접점수를 받아 최종순위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추천받으면 채용기준을 느슨하게 적용했으며, 결격사유가 있더라도 합격시킨 경우가 많았다. 반면, 법률에 따라 보훈청이 추천한 유공자 등은 학력과 신체검사에서 엄격하게 처리됐다고 한다.

이는 우리 사회의 도덕적 해이가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현재 우리 사회는 장기불황 속에서 실업자들이 큰 고통을 받고 있다. 이런 구직난 속에서 힘있는 자들이 사기업에 청탁을 해 남의 정당한 일자리를 뺏은 것은 참으로 부도덕한 일이다. 만약 이들 유력자들이 부정한 청탁의 대가로 금품을 받은 사실까지 드러난다면 이는 파렴치한 일로서, 절대로 묵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런 일이 대가 없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은 상식이다. 정경유착 척결과 투명한 사회 건설 차원에서 엄정한 수사가 필요하다.

이번 사건에는 노-사 결탁, 유력자 청탁 외에 브로커까지 등장하는 등 마치 채용비리의 복마전을 보는 듯하다. 이의 뿌리에는 회사의 노조회유, 노조의 반노동자적 부패와 타락, 정경유착 관행, 비정규직 차별 등 사회의 윤리의식 마비가 자리잡고 있다. 이미 권력이 된 지 오래인 큰 노조들을 포함해 이 사회의 힘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막강한 힘을 과연 정당하게 사용하고 있는지 돌아보고 뼈를 깎는 자정에 나서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