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9.08 18:29 수정 : 2015.09.08 18:29

정부가 8일 내년도 예산안을 386조7000억원 규모로 짰다고 발표했다. 결론부터 말해 이런 예산으로 변동성이 높은 경기 흐름과 커지는 복지 수요 등에 제대로 대처할 수 있을지 걱정스럽다. 예산안을 통해 내년에는 나라 경제가 호전될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찾기 어렵다.

내년 예산안은 올해보다 3.0% 늘어나게 돼 있다. 이런 증가율은 2010년(2.9%)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게다가 정부의 내년도 경상 경제성장률 전망치(4.2%)를 크게 밑돌아 사실상 긴축예산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증가율이 이렇게 낮을 때 경기 부진을 타개하는 데 얼마나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냐다. 잘 알다시피 우리 경제는 좀체 활기를 찾지 못하고 있다. 내수가 둔화한 가운데 수출은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성장률이 정부 전망치(3.1%)를 달성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는데도 그렇다. 내년에도 국내외 여건으로 미뤄 경기 부진의 흐름이 크게 바뀌기는 쉽지 않다. 정부 구실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예산 증가율이 낮아 정부가 할 수 있는 몫이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정부가 사실상 긴축예산을 편성했음에도 재정건전성은 더 나빠지게 생겼다. 우선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 대비 40.1%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마지노선으로 잡아온 40%를 넘어서는 것이다.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내년에 37조원으로 올해 예산(33조4000억원)보다 늘어나는 등에 따른 결과다. 박근혜 정부가 강조해온 임기 내 균형재정 달성은 물건너갔다고 봐야 한다. 우리나라 국가채무 수준이 다른 나라에 견줘 아직 양호한 편이지만 증가 속도가 빨라 경계를 높이지 않으면 안 된다. 현 정부는 재정건전성을 유달리 강조해왔다는 점에서 걸맞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마냥 ‘증세 거부’를 되뇌고 있을 때가 아니다. 부담 여력이 큰 고소득자와 대기업을 상대로 한 세수 증대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보건·복지·노동 부문 예산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증가율이 6.2%로 2005년 이후 두 번째로 낮다. 전체 예산 증가율보다 높기는 하나 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국 동향과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 추세를 고려할 때 그냥 넘기기 어렵다. 박 대통령 공약사항인 고교 무상교육 시행과 초등 돌봄학교 확대 등이 뒷전으로 밀린 것도 마찬가지다. 이래저래 예산안을 손질할 필요성이 적지 않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