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9.10 18:51 수정 : 2015.09.10 18:51

검찰이 수감자의 디엔에이(DNA) 정보를 모아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에 ‘가족 검색’ 기능을 탑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국무총리실 산하 디엔에이 데이터베이스 관리위원회는 일가 남성들이 공유하는 동일 부계혈족 유전자 정보를 수사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고 한다. 쉽게 말해 범죄 현장에서 발견된 유전자 정보를 바탕으로 범인을 찾을 때 전과자뿐 아니라 범죄 전력이 없는 가족·친척까지 모두 용의선상에 오를 수 있다는 얘기다. ‘디엔에이 연좌제’인 셈이다.

아무리 범죄 수사의 효율성을 위한 것이라고 해도 이런 식이면 무고한 다수의 시민이 수사기관의 주목을 받게 되는 인권침해 상황이 초래된다. ‘디엔에이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 범죄 현장의 유전자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특정인을 검색하는 ‘일대일 동일인 판독’ 방식만 허용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수사의 효율성이 인권을 밀어내지 못하도록 촘촘한 보호장치를 마련해온 게 현대 형사절차의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과학수사라는 포장을 썼다고 해서 예외가 될 수는 없다.

이를 모를 리 없는 검찰은 ‘가족 검색 기능을 실제 활용한 적은 없다’거나 ‘동일 부계혈족 유전자 정보 활용은 검토 수준이다’라는 해명을 내놨다. 하지만 이 정도로는 충분하지 않다. 사용하지 않을 기능을 왜 굳이 만들었는지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정보인권단체들이 ‘이미 마련된 기능을 사용하고 싶은 유혹을 수사기관이 떨쳐낼 수 있겠느냐’고 우려하는 것은 당연하다. 가족 검색 기능과 동일 부계혈족 유전자 정보 활용 방안은 공식적으로 폐기해야 마땅하다.

아울러 인권침해 소지가 짙은 디엔에이 데이터베이스 운용 방식도 재고돼야 한다. 현재 데이터베이스 관리는 검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두 곳이 맡고 있는데, 민감한 정보를 관리하는 주체와 이를 이용하는 수사기관이 겹치는 건 문제가 있다. 오남용에 대한 통제가 느슨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독일에서는 수사 업무와 무관하거나 독립성을 갖춘 기관이 유전자 감식 업무를 담당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범죄자의 유전자 정보 채취 및 보관 범위도 조정이 필요하다. 강력범죄도 아닌 노동쟁의나 집회·시위 사건 관련자까지 마구잡이로 유전자 정보를 채취하고 이를 평생 보관하는 건 과도하다. 지난해 헌법재판소가 현행 제도를 합헌이라고 결정했지만 상당수 재판관들이 반대·보충 의견을 통해 이런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국회의 관심을 촉구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