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10.20 18:34 수정 : 2015.10.20 18:34

20일치 <조선일보>에는 “‘박정희 죽었어야’ 한홍구… 부친 한만년, 생전 칼럼서 ‘막내아들 생각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란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진보 성향의 역사학자인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를 아버지인 고 한만년 일조각 사장이 못마땅해했다는 내용이다. 기사는 한 교수가 인격 파탄의 철부지라고 강조하려는 듯하다. 실제 사실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이런 내용이 기사로 다뤄질 만한 것인지, 그것도 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 기사만 모은 지면에 실릴 내용인지도 의문이다. 품격은 내팽개친 채 특정인을 욕하는 데만 열중하는 듯한 기사를 버젓이 실은 의도는 더욱 궁금하다.

앞서 <티브이 조선>은 13일 “한 교수가 ‘박정희 더 일찍 죽였어야’라고 말하는 동영상이 서울의 고등학교 수업시간에 방영됐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15일 이런 내용을 그대로 실었고, 비슷한 보도가 이어졌다. 새누리당은 이를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핑계로 내세웠다.

하지만 이런 보도는 ‘팩트’(사실)를 왜곡한 것이다. <조선일보> 등의 기사는 마치 한 교수가 박근혜 대통령이 태어나기 전에 그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죽였어야 했다고 말한 양 서술하고 있다. 의도적인 왜곡이 아니라면 이럴 수가 없다. 동영상으로 남아 있는 2014년 11월28일 문화다양성포럼 강연을 보면, 한 교수는 1948년 여순반란 사건 이후 숙군 책임자인 김창룡이 한국 군부 내 남로당의 최고위급 프락치였던 박정희를 같은 만주군 출신이라는 등의 이유로 살려준 덕에 우리 역사가 조금 바뀌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김창룡이) 박정희 그때 죽여버렸으면 대통령이 될 수 없죠”라고 역사적 사실을 설명한 것을, 마치 ‘박정희를 죽여버렸어야 했다, 아쉽다’라는 아쉬움을 말한 것으로 왜곡한 것이다. 하지도 않은 말을 앞세운 ‘마녀사냥’이다.

왜 그랬는지는 짐작할 만하다. 한 교수의 강연도 한참 전의 일이거니와 강연 동영상을 교실에서 상영한 것도 두 달 전인 9월18일이었다. 지금 와서 떠들썩하게 마녀사냥에 나선 데는 이제 막 논란이 된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를 호도하려는 의도가 있었음 직하다. 그렇잖아도 한 교수는 ‘반헌법행위자 열전’ 편찬을 주도하는 등 조선일보 처지에선 눈엣가시 같은 사람이다. 때마다 진보성향 인사를 한 사람씩 표적으로 삼아 막무가내로 칼을 휘두르는 ‘빨갱이 사냥’은 조선일보에서 종종 봤던 일이다. 그런 짓은 이제 그만둘 때도 되지 않았는가.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