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6.05 19:21 수정 : 2016.06.06 00:01

박근혜 대통령이 12일간의 해외 순방을 마치고 5일 귀국했다. 박 대통령은 아프리카에선 코리아에이드 등 새로운 개발협력과 경제협력을 확대하고 프랑스와는 창조경제 및 문화융성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고 정부 쪽은 평가했다. 국내에서도 그 내용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는 ‘창조경제’를 협의하고 시대착오적이라는 코리아에이드를 앞에 내세울 정도로, 이번 순방 성과는 모호하기 그지없는 게 사실이다. 그래서 ‘아프리카에선 새마을운동 현장을 돌아보고 프랑스에선 과거 유학했던 도시를 찾는 추억여행이었다’는 평까지 야당에선 나온다.

박 대통령이 자리를 비운 사이, 동아시아에선 미-일 동맹과 중국-북한 관계에서 중요한 움직임이 진행됐다. 국내에선 가습기 살균제에 이어 미세먼지 파동이 국민을 불안에 빠뜨렸다. 가장 기본적인 ‘안전 문제’에서 정부는 통솔력과 집행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국민 신뢰를 얻는 데 실패했다. ‘벌써 레임덕이 심각하다’는 얘기가 공공연하게 나올 정도다.

박 대통령은 빡빡한 일정 탓에 링거를 맞으면서 강행군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정말 성과를 보여야 할 중요한 일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순방 성과보다 더 중요한 건, 현격히 떨어진 국정조정능력을 회복해서 주요 정책현안에 제대로 대처하는 것이다. 4·13 총선 이후 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30%대 초반에서 반등하지 못하고 계속 횡보하고 있다는 건 의미심장한 지표다. 임기 말이 다가올수록 한번 떨어진 지지율은 회복하기 어렵고, 이는 국정 전반의 난맥과 위기관리능력 부재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지금 정부의 추진력과 신뢰를 회복하는 게 매우 긴요하다고 보는 이유가 여기 있다.

그러려면 대통령은 정치에서 손을 떼고, 오직 주요 정책의 조율과 집행을 제대로 하는 데만 온힘을 쏟아야 한다. 박 대통령은 해외에서도 정책보다 국내 정치에 훨씬 민감했다고 많은 이들은 생각한다. 예컨대 아프리카에서 국회법 개정안(청문회활성화법)에 거부권을 행사한 게 그런 메시지를 줬다. 이래선 국정 장악력을 높이고 이해 충돌이 심한 현안을 해결해나갈 수 없다. 국회의장 문제는 국회에, 유승민 의원 복당 여부는 새누리당에 맡기고, 대통령은 대한민국호가 직면한 핵심 정책현안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