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8.28 15:25 수정 : 2016.08.28 16:12

4대강을 막은 16개 보가 완공된 지 5년째 되고 있다. 잘 흐르던 강물을 보로 가둬 호수로 만든 뒤 초록빛 물감을 풀어놓은 것 같은 녹조 현상이 해마다 벌어진다. 물고기 떼죽음과 큰빗이끼벌레, 붉은깔따구 유충과 실지렁이 번창, 기생충 감염 사태 등 누가 봐도 강은 죽어가고 있다.

생태계만 흔들리는 게 아니라, 독성을 띤 남조류가 번져 상수원을 위협한다. 특히 낙동강이 심각하다. 창녕함안보에는 22일 ‘경계’ 단계의 조류경보가 발령됐다. 낙동강 강정고령보와 대청호 문의·수동·회남 등 주요 상수원도 이달 들어 3주째 ‘관심’ 단계의 경보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측정 결과, 이제까지 녹조가 거의 안 생기던 낙동강 중·상류도 하류보다도 높은 심각한 남조류 농도를 보인다. 정수처리를 강화하면 독성 남조류를 걸러낼 수 있다곤 하지만, 정수처리 과정에서 발암물질이 생기는 등의 부작용까지 막을 순 없다.

이런 이상 사태를 보면서도 정부 당국은 태평하기만 하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얼마 전 국회 환경노동위 전체회의에서 홍영표 환경노동위원장이 “4대강 사업으로 인한 녹조 등 수질오염이 심각해 근본대책을 세워야 하는 것 아니냐”고 따지자 “시간을 두고 평가해봐야 한다”고 대답했다. 국토교통부는 16일과 6월29일 일시적으로 낙동강 보 수문을 열고 물을 흘려보내는 ‘펄스 방류’를 해 녹조를 씻어내려 했지만 지금 같은 가뭄 때 효과는 의심스럽다. 오히려 찔끔 방류가 수질을 악화시킨다는 지적도 나온다. 뒤늦게나마 수자원공사가 28일부터 녹조 현상 해소를 위해 낙동강에 건설된 4대강 보 8개의 수문을 모두 열어 물을 방류키로 한 것은 다행이다.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와 국민의당 이상돈 의원은 ‘4대강 청문회’나 국정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정부 스스로 근본 처방을 내놓지 않으면 시민과 유권자가 나설 수밖에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