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11.07 18:04 수정 : 2016.11.07 18:04

문화예술계를 발칵 뒤집어 놓은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 작성 주역이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정관주 차관이라는 증언이 나왔다. 2014년부터 6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재직한 조 장관이 당시 국민소통비서관이던 정 차관과 함께 블랙리스트를 만들었고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실을 경유해 문체부로 내려보냈다는 것이다. 두 사람이 문체부의 최고 자리에 오르기 전 문화예술인 죽이기에 앞장섰다는 얘기인데, 사실이라면 문체부의 존재 이유를 부정하는 충격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문체부 고위 관계자 등 여러 사람에게서 나온 증언들은 내용이 상당히 구체적이어서 실제로 벌어진 일일 가능성이 크다. 이들의 증언에 따르면, 조윤선-정관주 라인이 블랙리스트 작성과 전달을 주도했으며, 김기춘 당시 비서실장도 이 일에 관여했다고 한다. 또 문화예술위원회 전·현직 관계자들도 당시 문체부 사무관이 청와대에서 내려온 명단을 들고 전남 나주의 문화예술위원회로 찾아가 예술인 지원사업 대상에서 블랙리스트에 오른 인사와 단체를 빼라고 종용했다고 털어놓았다. 이 때문에 문화예술위가 지원 대상 선정에 진통을 겪었고 석달이나 늦어진 2015년 3월 말에야 확정했다는 것이다. 이런 증언은 권영빈 당시 문화예술위원장이 ‘기금 지원 리스트가 있어서 지원 심의를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없다’고 발언한 회의록 내용과 맞아떨어진다.

증언이 이렇게 구체적인데도 조 장관과 정 차관은 의혹을 부인하고만 있다. 조 장관은 지난달 문체부 국정감사에서도 야당 의원들의 블랙리스트 관련 추궁에 “그런 문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고받았다”고 남 얘기 하듯 답했다. 증언들은 조 장관이 청와대 정무수석으로서 블랙리스트를 작성한 당사자라고 가리키고 있는데, 자신은 모르는 일이라고 잡아떼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문화계에서는 문화와 관련 없는 조 장관이 문체부 장관에 발탁된 배경을 놓고 의아하다는 반응이 많았다. 증언들을 종합하면, 조 장관과 정 차관은 청와대의 ‘문화 탄압’ 지시를 충실히 집행한 데 따른 ‘인사 보은’을 받은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도둑에게 집 지키라고 열쇠를 내준 것이나 마찬가지 일이다. 블랙리스트 의혹은 문체부의 근본을 흔드는 중대사인 만큼 진상을 철저히 밝히고 책임을 끝까지 물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