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07.28 18:07
수정 : 2017.07.28 19:03
일부 방직업체들이 공장 국외 이전과 인력 대폭 감축 계획을 밝히면서 그 이유를 최저임금 인상 탓으로 돌려 논란이 일고 있다. 경방(옛 경성방직)은 24일 이사회를 열어 광주공장의 생산시설 절반가량을 베트남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김준 경방 회장은 몇몇 언론에 “내년 최저임금이 16.4% 인상돼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고 말했다. 전방(옛 전남방직) 조규옥 회장도 28일 언론 인터뷰에서 “최저임금 인상 때문에 직원 1600명 중 600명을 해고할 판”이라고 말했다.
|
경방의 자동화설비. 출처 경방 홈페이지
|
보수언론은 이를 두고 “과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일자리를 없애고 기업의 해외 탈출을 부추길 것이란 지적이 결국 현실이 됐다”고 주장한다. 최저임금 인상을 비판하는 소재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최저임금의 큰 폭 인상이 기업과 자영업자에게 부담이 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경방과 전방의 사례를 최저임금 탓으로 돌리는 것은 과장된 주장이다.
섬유업계의 국외 이전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인건비 상승과 수입 규제 등 대내외 여건이 악화되면서 개발도상국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다. 경방도 이미 10년 전부터 베트남 진출을 추진해 현지에서 공장 2곳을 가동하고 있다. 2015년 기준 경방의 베트남 생산설비 규모는 국내의 70% 수준까지 커졌다. 반면 국내 직원 수는 2013년 676명에서 올해 568명으로 줄었다. 경방은 지난해 매출액 3774억원, 영업이익 43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이 11.5%에 이른다. 지난해 제조업 평균 6.3%의 2배 가까이 된다. 경방 외에도 대한방직협회 회원사 12곳 가운데 5곳이 현재 베트남에 진출해 있다.
전방은 경방과 또 다른 사정이 있다. 전방은 지난해 107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방직협회 회원사 중 지난해 영업적자를 낸 곳은 전방을 포함해 2곳뿐이다. 전방은 2014년부터 3년 연속 영업적자를 내 누적적자가 343억원에 이른다. 업계에선 전방의 적자 원인이 인건비보다는 과도한 설비투자 때문이라는 지적을 하고 있다.
모든 정책은 양면성이 있다. 기대하는 효과뿐 아니라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어느 한쪽만 과도하게 부각시켜 전체적 조망을 어렵게 하는 과장된 주장은 옳지 않다. 정부는 소모적 논란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라도, ‘최저임금 인상’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정책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전력을 다해야 한다.
▶ 관련 기사 : 방직업계, 해외이전 이미 계획하고도…최저임금 탓이라고?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