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5.11 18:19 수정 : 2018.05.11 18:53

11일 더불어민주당 새 원내대표에 선출된 홍영표 의원(오른쪽 두번째)이 우원식 전 원내대표, 추미애 당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11일 더불어민주당 새 원내대표에 선출된 홍영표 의원(오른쪽 두번째)이 우원식 전 원내대표, 추미애 당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홍영표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로 선출됐다. 친문재인계 3선 의원인 그는 11일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116표 중 78표(67.2%)를 얻어 여당의 새 원내사령탑이 됐다. 당·청 관계를 원활히 하면서, 문재인 정부 2년 차 개혁을 힘있게 뒷받침하라는 여당 의원들 뜻이 표출된 결과로 보인다. 홍영표 새 원내대표는 우선 국회를 정상화하고, 야당과 협치를 실현할 돌파구를 마련하길 바란다.

비록 자유한국당의 몽니로 국회가 멈춰섰더라도, ‘드루킹 댓글 조작 의혹’에 대한 특검 도입을 놓고 파행이 장기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홍 원내대표는 드루킹 김아무개씨 등의 대통령 선거 전 무더기 댓글작업 지시 정황이 불거지고, 경찰·검찰의 수사가 신뢰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 11일 발표된 한국갤럽 조사에서 특검 도입 ‘찬성’ 의견이 54%로, ‘반대’(24%)보다 갑절 이상 높게 나타난 것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야당도 특검을 통해 지난해 대선 전체를 다 털어보겠다는 식으로 대상과 범위를 마구잡이로 넓히며 ‘조건 없는 특검 수용’만 부르짖는 건 옳지 않다. 홍 원내대표 선출을 계기로, 여당은 특검 시기를 앞당기고 야당은 조사 대상을 엄격하게 특정하는 식의 절충을 모색해볼 수 있다.

특히 여야 모두 지방선거 출마 의원 4명의 의원직 사퇴서 처리 시한을 넘기는 최악의 사태는 막아야 한다. 국회가 14일까지 사퇴서를 처리하지 못하면 4곳의 의원 보궐선거는 내년 4월로 미뤄진다. 국회가 해당 지역의 국회의원직을 열달 이상 비워두는 건 명백한 직무유기다. 국회의장 권한으로라도 본회의를 열어 사퇴서를 처리하고, 6월 지방선거와 동시에 4곳의 보궐선거를 실시하길 바라는 국민이 압도적이란 점을 자유한국당은 명심해야 한다.

국회를 바라보는 국민 시선은 따갑다. 세비를 받지 말라는 요구가 빗발친다. 홍 대표 선출을 계기로 여야가 한발씩 물러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