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8.16 18:38 수정 : 2018.08.16 19:19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들이 16일 청와대에서 오찬 회동을 열어, 여야정 상설협의체 가동과 9월 남북정상회담 지원 등 큰 틀의 협치에 합의했다. 야당에서 최근 제기한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해 문 대통령이 지지 입장을 분명히 함으로써 국회 논의도 본격화하게 됐다. 문 대통령과 5당 원내대표 회동은 지난해 5월 이후 1년3개월 만에 이뤄진 것이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제대로 된 협치의 출발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문 대통령과 5당 원내대표는 합의문을 통해, 여야정 상설협의체를 분기별 1회 개최하고 첫 회의를 오는 11월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협의체 정례화’는 청와대와 정부, 여야가 국가의 주요 사안에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는 공식적인 자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 첫술에 배부를 순 없지만, 협치가 정착되고 제도화할 수 있도록 잘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번 회동에서 3차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협력하고 지원하기로 합의한 대목도 눈에 띈다. 문 대통령은 인사말에서 “판문점선언을 국회가 비준동의 해준다면 다음달 평양 정상회담에서 힘이 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이 문제가 합의문에 명시되진 않았지만, 비핵화 협상 진전 여부에 따라선 비준동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쳐볼 수 있게 됐다. 문 대통령이 “국회도 함께 방북해 남북 국회회담의 단초를 마련했으면 한다”고 한 만큼, 국회 차원의 남북 교류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남북문제에서 초당적 협력의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문 대통령과 5당이 8월 임시국회에서 민생·규제혁신 법안을 조속히 처리하기로 합의한 점도 주목된다. 소상공인·자영업자·저소득층 지원 법안, 혁신성장을 위한 규제혁신 법안 등이 포함됐는데 여야가 추가 협의를 통해 하루속히 이들 법률안의 입법에 노력하는 게 바람직하다.

문 대통령이 “비례성과 대표성을 제대로 보장할 수 있는 선거제도 개편을 강력하게 지지한다”고 말한 것은 야당의 선거제도 개편 요구에 화답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선거제도 개편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고 자유한국당도 외견상 호응하는 모양새다. 문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힘을 실어준 만큼 국회 논의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협치 내각’ 구성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이날 회동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좋을 것이다.

청와대 회동을 통해 문 대통령과 여야 5당이 ‘협치의 틀’을 만들고 남북관계와 민생 분야에서 대략적인 합의점을 찾은 것은 커다란 진전이다. 이제 막 협치의 싹이 튼 만큼 이를 잘 키워나가야 한다. 문 대통령과 정부·여당이 먼저 성심성의껏 야당을 국정 파트너로 대우해야 한다. 야당도 이번처럼 대국적 자세를 보임으로써 국민 기대에 부응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