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8.30 17:46
수정 : 2018.08.30 18:52
|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0일 당정청 회의에서 종합부동산세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정청 회의에 참석한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부터), 김태년 민주당 정책위 의장, 이낙연 국무총리, 이해찬 대표,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김경호 선임기자
|
|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0일 당정청 회의에서 종합부동산세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정청 회의에 참석한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부터), 김태년 민주당 정책위 의장, 이낙연 국무총리, 이해찬 대표,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김경호 선임기자
|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0일 3주택 이상이나 초고가주택에는 종합부동산세(종부세)를 지금보다 높게 매겨야 한다는 뜻을 밝혀 주목된다. 집권 여당의 새 대표가 취임 뒤 첫 당정청 회의에서 한 발언이라 무게감을 더한다. 세제 정상화나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고가주택과 다주택자에 대한 종부세는 강화하는 게 옳은 방향이다.
현행 주택분 종부세 세율은 과세표준 6억원 이하 0.5%, 6억원 초과 구간은 0.7~2.0%이다. 정부는 여기서 좀 강화한 ‘종부세 개편 방안’을 지난달 내놓은 바 있다. 주택분 세율을 과표 6억원 이하는 현행대로 유지하고 6억원 초과는 0.1%~0.5%포인트 올리기로 했다. 또 3주택 이상자는 0.3%포인트 추가 과세하기로 했다. 이런 개편안에 따라 영향을 받는 대상자는 2만6천명(2016년 결정 기준)으로 추정됐다. 주택분 종부세 납부자 중 91%(전체 27만4천명 중 24만8천명)가 빠지는 허술한 개편안이다. 1주택자 기준으로는 시가 약 23억원짜리 집도 영향권 밖이라고 한다.
기획재정부의 개편안은 앞서 나온 대통령 직속 재정개혁특위 권고안에서 한발 후퇴한 내용이었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 좋지 않은 신호를 주어, 집값을 들썩거리게 한 요인의 하나로 꼽혔다. 이 때문에 종부세를 보강해야 한다는 주장이 줄곧 제기됐다.
더욱이 종부세를 비롯한 보유세 비중은 부동산 시가총액(민간 보유)의 0.156%(2015년 기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0.435%보다 한참 낮다. 보유세를 높이고 거래세(취득·등록세, 양도세)를 낮춰야 한다는 쪽으로 공감대가 이뤄져 있는 배경이다.
이를 고려해 올가을 정기국회에서 세법 개정안을 논의할 때 종부세를 비롯한 부동산 세제를 전반적으로 손질해 정상 궤도로 돌리기 바란다. 이는 시중 여유자금을 생산적인 쪽으로 이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