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1.25 21:46 수정 : 2006.01.25 21:46

사설

주요 사립대의 지나친 등록금 인상 계획으로 대학가가 술렁인다. 앞장선 곳은 연세대다. 지난해보다 12% 인상하는 안을 확정했다. 이어 한양대 9.3%, 서강대 8.29%, 고려대 8% 등의 인상안을 발표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목표치(3%)보다 3~4배 높다. 국공립대의 5% 안팎 인상 계획과 비교된다.

학교 당국은 등록금과 재단 전입금 등 정상적인 수입만으로는 수년째 적자재정을 피할 수 없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학생과 학부모는 이해하지 못한다. 최근 3년간 계속되는 불경기에도 사립대 등록금 인상률은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갑절 정도 높았다. 다른 어떤 부문보다 높은 인상률이었다.

그 결과 2004년, 기부금을 포함해 연세대는 1301억원의 운영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건국대(1091억원) 홍익대(838억원) 중앙대(715억원) 이화여대(714억원) 고려대(593억원)도 마찬가지였다. 누적 적립금은 이화여대 5738억원, 홍익대 2920억원, 연세대 1684억원에 이른다. 그런데도 예산편성 때 지출예산은 늘려잡고 수입예산은 줄여잡는 방식으로, 이들 대학은 등록금 인상의 근거를 만들었다. 등록금 과잉 인상에 대한 학생들의 불신은 피하기 어렵다. 각 대학 총학생회가 이미 등록금 인상 철회투쟁에 나서기 시작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대학 당국과 학생 사이의 소모적인 갈등은 지양돼야 한다. 이를 위해선 먼저 대학이 재정상태와 예·결산을 투명하게 공개해 불신을 없애야 한다. 등록금 책정 과정에 학생과 교수, 교직원을 참석시키는 등 민주성을 강화해야 한다. 총학생회가 참가한 가운데 등록금 예고제를 펴, 학내 갈등을 없애고 학교 경쟁력을 높인 원광대는 좋은 본보기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