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역경제권역별 경제지표
|
광역경제권 운영방향과 문제점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24일 발표한 광역경제권 발전 전략은, 경제적으로 함께 묶일 수 있는 지역인데도 행정단위가 서로 달라 과잉 경쟁이나 중복 투자가 벌어지는 것을 막자는 문제의식에서 나왔다. 실제로 이런 부작용이 많았다. 김영수 산업연구원 지역산업팀장은 “예를 들어 대구와 경북의 산업구조는 부품-소재망이 서로 연결된 사실상의 동일 경제권임에도 행정단위 위주로 전략을 짜다 보니 예산이 과잉·중복되는 경우가 허다했다”며 “광역 단위로 바뀌게 되면 불필요한 중복투자를 없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광역경제권 발전 전략을 중앙정부 주도로 추진할 경우 여러가지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지방자치제의 뼈대 괜찮나?=이 전략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기존 광역지자체의 위상과 기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인수위는 지자체와의 매끄러운 업무조율을 위해 광역경제권별로 ‘지역자율형 지역본부체제’를 둘 계획이다. 예를 들어, 산하 시·도 행정단위를 한데 묶는 ‘○○광역경제권 본부’를 광역경제권별로 만들겠다는 얘기다. 또 대통령 직속의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산하 ‘광역경제권 활성화 추진단’을 만들어 각 광역경제권 본부와의 업무를 조정·협의한다는 게 인수위의 구상이다. 이 구도로 보면, 위로는 대통령에서부터 전국 광역경제권별 본부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새로운 중앙집중형 전국 행정기구가 들어선다. 기존 지방자치제의 틀이 바뀌는 셈이다. 박형준 인수위원은 “광역경제권 본부는 단지 기능상의 기구일 뿐 새로운 행정기구가 아니다”라고 강조했지만 “장기적으로는 행정구역 광역화 문제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광역경제권 운영 체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