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군내 상당수 직능단체 회원과 청원군의회 의원들은 청원군지키기운동본부를 발족한 뒤 주민설명회와 토론회 등을 통해 반대 논리를 전파한 반면 청주청원하나되기운동본부소속의 청원참여자치시민연대와 청원.청주 통합추진 군민위원회는 "반대 논리는 일부 세력의 기득권 유지 차원"이라며 맞섰다. 열린우리당 이시종 의원이 29일 충북도에 대한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의 국정감사에서 "통합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는 청원군 지역에서 사회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원종 지사는 도 차원에서 갈등 치유 대책을 강구하라"고 말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민-민 갈등'은 통합 반대를 외쳤던 지키기운동본부를 중심으로 '반 청원군' 운동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키기운동본부쪽이 찬반 결과를 떠나 앞으로 군이 추진하는 모든 사업과 행사에 불참할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한데 따른 관측이다. 지키기운동본부는 그 동안 오효진 군수가 군민 대의기구인 군의회나 직능단체 등과 한마디 상의없이 한대수 청주시장과의 정치적 야합에 의해 일을 추진했다며 집중적으로 공격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당장 30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청원지역 일원에서 벌어지는 2005청원생명한마음축제가 성공적으로 치러질지도 미지수다. 청원문화제,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는 물론이고 1일 5천명 수용 규모의 청원공설운동장에서 열리는 군민의 날 행사가 통합에 반대했던 주민들의 불참으로 '반쪽행사'에 그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지키기운동본부는 그 동안 오효진 군수가 군민 대의기구인 군의회나 직능단체 등과 한마디 상의없이 한대수 청주시장과의 정치적 야합에 의해 일을 추진했다며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오 군수는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예전처럼 주민들이 손을 잡고 화기애애한 모습을 보여주자"고 화합의 메시지를 보냈으나 그 효과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통합 추진에 따른 불신의 골이 깊이 패인 가운데 이해 당사자들간 갈등 봉합과 함께 투표 후유증을 하루빨리 극복해야 하는 숙제는 결국 양 시.군 및 통합 찬반 단체 등의 몫으로 남게 됐다. 시민 윤 모(38.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씨는 "두 자치단체가 투표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조속히 밝히고 통합 반대측도 대승적 차원에서 화해의 손을 내밀어야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천 기자 jcpark@yna.co.kr (청주=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