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계열 당권재장악…후유증 최소화 숙제
민족해방(NL) 계열의 문성현 경남도당위원장이 10일 민주노동당 새 대표에 당선된 것은 당이 안고 있는 특징과 한계를 다시 한번 노정한 결과로 받아들여진다. 지난 2000년 창당 당시부터 당권을 한번도 내주지 않았던 범NL계는 이번에도 당 3역인 대표와 사무총장, 정책위의장은 물론 선출직 최고위원 11명 중 8명을 배출하는 저력을 과시했다. 전임 지도부의 80% 이상을 차지했던 NL계열이 전략 부재를 드러내며 조기 사퇴한 상황에서도 여전히 당권파인 NL진영이 비당권파인 범좌파(PD) 계열보다 조직력 면에서 우위에 있음을 보여준 셈이다. 또 정파간 세싸움을 지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어느 때보다 컸음에도 불구, 민노당 내에서는 여전히 운동권 내 `해묵은' NL-PD간 대립 구도가 권력의 향방을 결정한다는 점도 재확인시켜 주었다. 일각에서는 문성현 후보의 대표 당선이 당내 잠재적 `대권 라이벌'로 꼽히는 권영길 노회찬 의원간 `대리전'에서 권 의원이 승리한 것이라는 흥미로운 분석도 나온다. 권 의원은 노동계 출신으로 `통합형 리더'임을 자부해왔지만 NL 계열을 지지 세력으로 삼고 있는 반면, 노 의원은 PD계열의 대표 주자로 꼽히기 때문이다. 어찌됐든 문 대표의 앞에는 많은 난제가 가로놓여 있는 게 사실이다.먼저 이번 선거 과정을 통해 표면화된 고질적인 계파간 갈등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지가 관심이다. 경선 기간 `통합형 리더십'을 내세웠던 문 대표가 10일 당선 수락연설에서도 "앞으로 통합을 제일의 기치로 노력하겠다"고 밝힌 것은 일단 계파 대립 해소에 의지를 갖고 있다는 반증으로 받아들여진다. 민주노총과의 관계 재정립 문제도 숙제다. 그러나 민노총 출신인 문 대표가 당 쇄신방안의 하나인 민노총 출신의 대의원 할당문제에 대해 "언젠가 바뀌어야 한다"는 원칙적이고 선언적 입장만 밝혀 당분간 이 문제는 답보 상태를 면치못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실적으로 가장 큰 문제는 현재 10% 안팎까지 떨어진 당 지지율을 5.31지방선거 전까지 얼마나 끌어올릴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특히 최근 지지율 하락이 계파간 갈등에 따른 당력 약화, `민주노총=민노당'이라는 인식 등에 따른 것이란 점에서 문 대표가 경선 과정에서 통합과 당 쇄신 작업을 얼마나 실효성있게 밀고나갈 수 있을지 여부가 지지율 회복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한편 문 대표는 비정규직 관련법 협상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대한 대응 방침과 관련, "협상 가능성 없다", "전면 대응하겠다"는 등의 강경한 발언을 쏟아내 향후 민노당의 정국 대응이 강경 노선을 띨 가능성을 예고했다. 이승우 기자 leslie@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