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2.12 11:13
수정 : 2006.02.12 11:13
한나라당이 5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중앙당이 모든 공천권을 쥐고 있던 과거와 달리 이번 지방선거부터는 지난해 11월 채택된 당 혁신안에 따라 16개 시.도당 공천심사위원회가 기초단체장 및 기초.광역의원에 대한 공천권을 행사하게 되면서 로비와 비리발생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탓이다.
벌써부터 당내에서는 대형 공천비리 가능성을 경계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클린 이미지' 구축을 위해 애써 온 그간의 모든 노력이 자칫 수포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서다.
공천비리로 `차떼기당'(2002년 대선때 불법선거자금을 차로 옮긴 것을 빗댄 말)의 부정적 이미지가 되살아나 지방선거에서 고전을 치를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우려감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
실제 최근 당 소속 모 의원이 자신의 친동생을 시켜 지방선거 출마예정자 120여명을 대상으로 평가형식의 면담을 벌여 논란을 빚은데 이어 `모 의원이 기초단체장 출마 희망자에게 거액을 받았다더라'는 식의 `카더라 통신'이 당안팎에 나돌고 있어 지도부를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박근혜 대표와 이재오 원내대표가 연일 공천비리 엄벌 방침을 밝히며 경계령을 발동하고 나선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하지만 시.도당 공천심사위의 공천과정에 대한 중앙당의 실질적인 견제장치가 없어 공천비리 경계령이 제대로 먹혀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당 지도부의 고민은 깊어만 가고 있다.
시.도당 공천심사위의 공천결과를 중앙당 최고위원회의가 최종 의결하도록 당헌 제91조에 명시해 놓긴 했으나 뚜렷한 명분 없이 재의를 요구하기가 어려워 사실상 시.도당 공천심사위의 공천결과가 그대로 확정될 수밖에 없는게 현실이다.
한 핵심 당직자는 "중앙당이 시.도당 공천심사위를 견제할 수 있는 실질적 장치가 없기 때문에 공천비리가 어디서 터져도 터질 것 같다"면서 "한 건이라도 터지면 지방선거에서 크게 불리해 질텐데 걱정"이라며 위기감을 표시했다.
또 핵심 당직자도 "전투에서 `보급로가 길어지면 전선이 어려워진다'는 말이 있는데 공천에 관여하는 인물이 과거 10여명에서 200명 내외로 대폭 늘어나 비리발생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졌다"면서 "비리사건이 안터지기만을 바랄뿐"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이 공천비리 근절을 위해 17일 국회에서 `5.31 지방선거 자정 결의대회'를 열기로 한 가운데 처음으로 구성될 시.도당 공천심사위가 앞으로 어떻게 공천심사를 해 나갈지에 당 안팎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