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4.20 10:00 수정 : 2006.04.20 10:00

임태희, 경기도 공천심사위원 사퇴

한나라당이 연일 터져 나오고 있는 `공천비리'와 `공천잡음'에 곤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당 지도부가 최근 `더 이상 문제되는게 없다'며 자체 감찰활동 일단락을 선언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 여러 건의 공천비리가 새롭게 터져나오면서 당 지도부의 입장이 난감해 진 것.

지도부는 "이번 건은 전혀 몰랐다"며 당으로서도 어쩔 수 없었다는 입장이지만 중앙선관위와 경찰이 조사중인 사건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허태열(許泰烈) 사무총장은 지난 18일 기자회견을 통해 "서울 도봉을 당원협의회 P모씨를 수사결과에 따라 처리키로 했다"는 감찰결과를 발표하면서 더 이상 확인된 공천비리는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바로 그 다음날 선관위는 한나라당의 감찰결과를 비웃기라도 하듯 한나라당 공천비리를 무더기로 적발, 검찰에 고발하거나 수사를 의뢰했다.

이 가운데 서울지역 모 당원협의회장의 경우 측근을 통해 시의원 공천 신청자로부터 6천만원을 받았다가 공천에서 탈락하자 되돌려 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지역은 공천잡음이 심해 애초부터 `요주의 지역'으로 꼽혔던 터라 당내에서조차 `미온적 대응'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지방경찰청도 같은 날 한나라당 제주도당 사무처장 K씨의 금품수수 의혹에 대한 진상 조사에 나선다고 발표, 당 지도부의 입장을 더욱 난처하게 했다.

공천비리 연루설이 나돌고 있는 서울 K, 영남 K, K, L 의원 등 현역의원 등에 대한 비리사실이 터져 나올 경우 지도부가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상황이 이런 데도 당 지도부는 "공천비리 의혹이 제기되면 언제든지 철저하게 조사하고, 사실로 확인되면 엄정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 공천심사위 부위원장으로 활동해 온 임태희(任太熙) 의원이 공천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공심위원직을 전격 사퇴,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임 의원은 2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자질보다는 친소관계에 따라 후보자가 결정되는 현실에서 더 이상 공심위에 몸담는 것은 무의미하다"면서 "특히 성남시장 후보 결정 투표과정에서 공심위원들이 압력을 받았는지 입장을 순식간에 번복하는 것을 보고 회의를 느겼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서찬교(徐贊敎) 현 성북구청장을 구청장 후보로 공천한 것을 둘러싸고도 말이 많다. 일각에서는 당 핵심당직자와의 특수관계설을 제기하고 있다.

경남도당위원장인 김학송(金鶴松.진해) 의원의 전 보좌관 이모씨가 최근 김 의원을 월급 착복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것도 공천비리로 얼룩진 당의 이미지를 더욱 흐리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