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18 16:03 수정 : 2006.06.18 17:09

17일 마감된 한나라당 7.26 국회의원 재보선 공천신청에 비공개 접수한 4명을 놓고 당내 억측이 구구하다.

그동안 당내에서 최병렬(崔秉烈) 전 대표와 송광수(宋光洙) 전 검찰총장이 이번 재보선에 출마할 것이란 소문이 있었던 만큼 이들이 비공개 접수를 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돌았다.

그러나 당 핵심 관계자는 18일 "최 전 대표나 송 전 총장, 맹 전 의장은 아니며 전문가, 전직 관료, 당원협의회장이 비공개 접수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송파갑에는 모위원회 소속 공직자 한명과 당원협의회장 두명, 성북을에는 모 중소기업 대표 한명이 비공개 공천신청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태환(金泰煥) 사무부총장은 "비공개 접수를 받은 것은 본인이 원하지 않을 때는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한 당규에 따른 것으로 전혀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회의원 출마를 결심할 정도의 사람이라면 자신의 행동에 당당하게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야지, 비공개 공천신청은 정공법이 아니지 않느냐는 비판적 시각도 만만치 않다.

한편 본인의 강력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출마설이 끊이지 않고 있는 최 전 대표의 경우 공식 공천신청 기간은 끝났지만 나중에 특별신청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부인의 공천비리 혐의로 정계은퇴를 고심하던 김덕룡(金德龍) 전 원내대표가 최근 활동재개 움직임을 보이고, 강삼재(姜三載) 전 사무총장과 강창희(姜昌熙) 대전시당위원장이 각각 마산갑 공천신청과 당권도전을 선언하는 등 옛 중진들이 정계복귀를 시도하고 있는 데 대해 당내 일각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심재철(沈在哲) 의원은 이날 '한나라당의 시계는 거꾸로 가나'란 제목의 보도자료에서 "창고 속 옛날 필름을 꺼내 리바이벌하겠다는 움직임 때문에 국민이 한나라당에 다시 의심스런 눈초리를 보내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이재오(李在五) 원내대표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최고위원회는 공천심사위원회의 결정을 의결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며 "7.26 재보선 공천은 깨끗하고 미래지향적인 흐름에 부합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은 옛 중진이 공심위 공천안에 포함될 경우 당연직 최고위원으로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될 여지가 있어 주목된다.

추승호 기자 chu@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