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20 20:04 수정 : 2006.06.20 20:04

“신중한 접근” 거듭 요구할듯…청와대와 절충 쉽지 않아

김근태 의장 체제의 열린우리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주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국민 전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라 신중에 신중을 거듭해야 한다는 논리다.

김 의장의 한 측근은 20일,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김 의장의 지론은 △개방형 경제에서 협정을 거부하거나 부정해서는 안된다 △다만, 조급하게 서두르면 재앙이 될 수 있다 △특히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경제의 틀을 넘어 정치·안보·사회적 합의까지 포함하고 있으니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요약했다. 김 의장 쪽의 한 의원은 “아울러 중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등 다른 경제 단위와의 자유무역협정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는 게 김 의장의 생각”이라며 “특히 한-중-일 자우무역협정을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동시에 또는 먼저 추진해야 한다는 판단도 서 있다”고 전했다.

김 의장은 한-칠레 자유무역협정의 논의를 계기로 자유무역협정에 대해 꾸준히 공부를 해왔다는 게 주변 설명이다. 그 결과 미국과 맺는 자유무역협정의 성격을 경제적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정치·안보 쪽까지 연결해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이 한국과의 자유무역협정을 서두르는 이유에는 한국을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는 ‘안보 블럭’에 공고히 묶어두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김 의장 쪽은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인식은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통해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을 극대화하고, 중산층의 토대가 되는 자영업자들에게 새로운 활로를 열어주자는 청와대와 정부 쪽 생각과 근본적으로 달라, 절충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김 의장 쪽 관계자는 “지난해 열린 청와대와 당 지도부 만찬에서도 김근태 의장이 ‘미국이 왜 자유무역협정을 서두르는지 그 이유를 심도있게 고민해 봐야 한다’고 말을 꺼낸 적이 있었다”며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그런 문제는 이미 충분히 고민했다’며 말을 자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태희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