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처방 아닌 봉합”내부비판도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25일 “올 상반기 예정된 한일 정상회담은 예정대로 추진하고, 한일 외무장관 회담도 지난번 취소했으나 다시 하게 될 것”이라며 “예정된 외교채널은 모두 열어놓겠다”고 밝혔다. 반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한국지역정책연구원 초청 특강에서 이렇게 말하고, “한일 관계와 관련해 따질 것은 따지고 매듭을 풀 것은 풀겠지만, 외교와 함께 경제와 문화 교류도 병행한다는 것이 정부의 기조”라고 밝혔다. 반 장관의 언급은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독도)의 날’ 제정과 후소사 역사교과서 문제로 인한 한일 간의 ‘외교적 동결 상태’를 풀기 위한 장관급 접촉을 시도하겠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가 이날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들을 만난 것도 한일 갈등을 조기에 해소하기 위한 일본 나름의 접근으로 읽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박준우 외교부 아태국장은 24일 우라베 도시나오 주한 일본공사와 만나 한일 관계 현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한일 외무장관 회담을 열기 위한 ‘조건과 명분’이 거론됐을 것으로 보인다. 우라베 공사는 지난 13일 일본에 들어간 다카노 도시유키 대사를 대신해 서울의 한일 외교채널을 지휘하고 있다. 외무장관 회담 재개에 대해선 한국이 일본보다 적극적이다. 지난 17일 새로운 대일 정책기조를 담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성명 이래 노 대통령의 ‘국민에게 드리는 글’ 등으로 한-일 관계의 악화를 우려한 여론을 배경으로 외교부가 나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외무장관 회담 일정을 따로 잡기보다는 예정된 국제 외교행사를 계기로 삼는 게 자연스러울 것”이라며 “정부로선 무엇이든 피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반 장관은 다음달 6일 파키스탄에서 열릴 예정인 아시아협력대화 참석을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인데 마치무라 노부타카 일본 외상도 참석하는 쪽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런 고위 외교채널 복원 움직임에 대해선 근본적인 해결이 아닌 한일 관계를 봉합하려는 것이며, 국가안전보장회의 성명과 노 대통령 담화의 ‘역사 바로세우기’가 실종될 수 있다는 내부 비판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노 대통령은 24일 여야 지도부와 국회의장단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찬을 하는 자리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예정대로 한다고 밝히면서도 “그동안 우리가 대일관계를 일본 쪽이 볼 때는 정치적 기교로 다뤄온 듯한 느낌을 줬다”며 “외교에도 진실과 혼이 담겨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
한-일 외교 빗장은 열어놔 |
반장관 “정상·외무회담 개최할것“
“근본처방 아닌 봉합”내부비판도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25일 “올 상반기 예정된 한일 정상회담은 예정대로 추진하고, 한일 외무장관 회담도 지난번 취소했으나 다시 하게 될 것”이라며 “예정된 외교채널은 모두 열어놓겠다”고 밝혔다. 반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한국지역정책연구원 초청 특강에서 이렇게 말하고, “한일 관계와 관련해 따질 것은 따지고 매듭을 풀 것은 풀겠지만, 외교와 함께 경제와 문화 교류도 병행한다는 것이 정부의 기조”라고 밝혔다. 반 장관의 언급은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독도)의 날’ 제정과 후소사 역사교과서 문제로 인한 한일 간의 ‘외교적 동결 상태’를 풀기 위한 장관급 접촉을 시도하겠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가 이날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들을 만난 것도 한일 갈등을 조기에 해소하기 위한 일본 나름의 접근으로 읽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박준우 외교부 아태국장은 24일 우라베 도시나오 주한 일본공사와 만나 한일 관계 현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한일 외무장관 회담을 열기 위한 ‘조건과 명분’이 거론됐을 것으로 보인다. 우라베 공사는 지난 13일 일본에 들어간 다카노 도시유키 대사를 대신해 서울의 한일 외교채널을 지휘하고 있다. 외무장관 회담 재개에 대해선 한국이 일본보다 적극적이다. 지난 17일 새로운 대일 정책기조를 담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성명 이래 노 대통령의 ‘국민에게 드리는 글’ 등으로 한-일 관계의 악화를 우려한 여론을 배경으로 외교부가 나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외무장관 회담 일정을 따로 잡기보다는 예정된 국제 외교행사를 계기로 삼는 게 자연스러울 것”이라며 “정부로선 무엇이든 피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반 장관은 다음달 6일 파키스탄에서 열릴 예정인 아시아협력대화 참석을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인데 마치무라 노부타카 일본 외상도 참석하는 쪽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런 고위 외교채널 복원 움직임에 대해선 근본적인 해결이 아닌 한일 관계를 봉합하려는 것이며, 국가안전보장회의 성명과 노 대통령 담화의 ‘역사 바로세우기’가 실종될 수 있다는 내부 비판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노 대통령은 24일 여야 지도부와 국회의장단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찬을 하는 자리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예정대로 한다고 밝히면서도 “그동안 우리가 대일관계를 일본 쪽이 볼 때는 정치적 기교로 다뤄온 듯한 느낌을 줬다”며 “외교에도 진실과 혼이 담겨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근본처방 아닌 봉합”내부비판도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25일 “올 상반기 예정된 한일 정상회담은 예정대로 추진하고, 한일 외무장관 회담도 지난번 취소했으나 다시 하게 될 것”이라며 “예정된 외교채널은 모두 열어놓겠다”고 밝혔다. 반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한국지역정책연구원 초청 특강에서 이렇게 말하고, “한일 관계와 관련해 따질 것은 따지고 매듭을 풀 것은 풀겠지만, 외교와 함께 경제와 문화 교류도 병행한다는 것이 정부의 기조”라고 밝혔다. 반 장관의 언급은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독도)의 날’ 제정과 후소사 역사교과서 문제로 인한 한일 간의 ‘외교적 동결 상태’를 풀기 위한 장관급 접촉을 시도하겠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가 이날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들을 만난 것도 한일 갈등을 조기에 해소하기 위한 일본 나름의 접근으로 읽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박준우 외교부 아태국장은 24일 우라베 도시나오 주한 일본공사와 만나 한일 관계 현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한일 외무장관 회담을 열기 위한 ‘조건과 명분’이 거론됐을 것으로 보인다. 우라베 공사는 지난 13일 일본에 들어간 다카노 도시유키 대사를 대신해 서울의 한일 외교채널을 지휘하고 있다. 외무장관 회담 재개에 대해선 한국이 일본보다 적극적이다. 지난 17일 새로운 대일 정책기조를 담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성명 이래 노 대통령의 ‘국민에게 드리는 글’ 등으로 한-일 관계의 악화를 우려한 여론을 배경으로 외교부가 나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외무장관 회담 일정을 따로 잡기보다는 예정된 국제 외교행사를 계기로 삼는 게 자연스러울 것”이라며 “정부로선 무엇이든 피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반 장관은 다음달 6일 파키스탄에서 열릴 예정인 아시아협력대화 참석을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인데 마치무라 노부타카 일본 외상도 참석하는 쪽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런 고위 외교채널 복원 움직임에 대해선 근본적인 해결이 아닌 한일 관계를 봉합하려는 것이며, 국가안전보장회의 성명과 노 대통령 담화의 ‘역사 바로세우기’가 실종될 수 있다는 내부 비판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노 대통령은 24일 여야 지도부와 국회의장단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찬을 하는 자리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예정대로 한다고 밝히면서도 “그동안 우리가 대일관계를 일본 쪽이 볼 때는 정치적 기교로 다뤄온 듯한 느낌을 줬다”며 “외교에도 진실과 혼이 담겨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