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개선위 내에선 당직.공직 분리 제도를 현행대로 고수하자는 의견과 현역 의원들만이라도 최고위원회에 들어갈 수 있도록 당직 임명을 허용하자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창현 총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행 제도를 유지하자는 주장도 있고, 개정하자는 주장도 있다"며 "개정파 내에서도 당직 임명 대상을 전면 개방하자는 의견과 당 3역만 허용하자는 의견, 대표 또는 사무총장만 허용하자는 의견 등이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민노당은 현재 지지율 하락 극복과 내년 지방선거 승리 등을 위해 지도부 선출작업을 내년 1월로 몇달 앞당기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노당은 이에 따라 오는 10월까지 당직.공직 분리제 개선안을 내놓은 뒤 중앙위원회와 임시 대의원대회를 잇따라 열고 11월까지 새 제도를 확정할 예정이다. 이와 맞물려 김혜경 대표를 비롯한 현직 최고위원들은 내년 6월까지인 임기를 모두 채우지 않고 올 연말 전원 사퇴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아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총장은 "내년 1월 지도부 선거를 치르자는 게 지도부 내 다수 의견"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
민노, 당직-공직분리 개정논의 점화 |
민주노동당이 도입 1년을 갓 넘긴 당직.공직 겸임금지제도의 개정을 위한 공론화 작업에 착수했다.
또 이같은 당직-공직분리 철회 움직임과 맞물려 민노당에서는 대표-최고위원 조기사퇴와 내년 1월 전당대회 개최론이 설득력있게 나돌고 있어 올 연말을 기점으로 당체질 개선을 위한 일대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우선 당직.공직 겸임금지제란 지난해 4.15총선에서 민노당이 창당 이후 처음 원내에 진출한 뒤 국회의원 위주로 당이 운영될 가능성을 경계, 국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 등 공직자는 선출직 당직을 맡을 수 없도록 한 제도이다.
민노당은 최근 김창현 사무총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당직제도 개선위원회를 발족하고 두 차례 회의를 통해 당직.공직 겸임제도의 개정 방향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지도부인 최고위원회에 당연직인 천영세 의원단대표를 뺀 나머지 의원들이 배제되면서 사실상 최고위원회와 의원단으로 `이원화'된 지도체제의 맹점을 극복하려는 논의가 달아오르기 시작한 셈이다.
민노당이 공식기구까지 만들어 당직.공직 겸임금지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이유는 이 제도가 당의 지도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실제 민노당은 이처럼 이원화된 지도 체제 탓에 당론결정 및 현안 대응 과정 등에서 효율성과 속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심지어 당내 일각에선 `지도력 부재'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권영길 전 대표와 노회찬 전 사무총장 등 `스타급 의원'들이 당직을 맡지 못하자 당의 대중적 인기도가 떨어지는 현상도 감지돼온 터였다.
현재 개선위 내에선 당직.공직 분리 제도를 현행대로 고수하자는 의견과 현역 의원들만이라도 최고위원회에 들어갈 수 있도록 당직 임명을 허용하자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창현 총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행 제도를 유지하자는 주장도 있고, 개정하자는 주장도 있다"며 "개정파 내에서도 당직 임명 대상을 전면 개방하자는 의견과 당 3역만 허용하자는 의견, 대표 또는 사무총장만 허용하자는 의견 등이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민노당은 현재 지지율 하락 극복과 내년 지방선거 승리 등을 위해 지도부 선출작업을 내년 1월로 몇달 앞당기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노당은 이에 따라 오는 10월까지 당직.공직 분리제 개선안을 내놓은 뒤 중앙위원회와 임시 대의원대회를 잇따라 열고 11월까지 새 제도를 확정할 예정이다. 이와 맞물려 김혜경 대표를 비롯한 현직 최고위원들은 내년 6월까지인 임기를 모두 채우지 않고 올 연말 전원 사퇴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아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총장은 "내년 1월 지도부 선거를 치르자는 게 지도부 내 다수 의견"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현재 개선위 내에선 당직.공직 분리 제도를 현행대로 고수하자는 의견과 현역 의원들만이라도 최고위원회에 들어갈 수 있도록 당직 임명을 허용하자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창현 총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행 제도를 유지하자는 주장도 있고, 개정하자는 주장도 있다"며 "개정파 내에서도 당직 임명 대상을 전면 개방하자는 의견과 당 3역만 허용하자는 의견, 대표 또는 사무총장만 허용하자는 의견 등이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민노당은 현재 지지율 하락 극복과 내년 지방선거 승리 등을 위해 지도부 선출작업을 내년 1월로 몇달 앞당기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노당은 이에 따라 오는 10월까지 당직.공직 분리제 개선안을 내놓은 뒤 중앙위원회와 임시 대의원대회를 잇따라 열고 11월까지 새 제도를 확정할 예정이다. 이와 맞물려 김혜경 대표를 비롯한 현직 최고위원들은 내년 6월까지인 임기를 모두 채우지 않고 올 연말 전원 사퇴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아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총장은 "내년 1월 지도부 선거를 치르자는 게 지도부 내 다수 의견"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