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1 11:37 수정 : 2005.08.11 11:38

국민의 정부때도 불법도청이 이뤄졌다는 발표에 이어 10일 김대중 전 대통령(DJ)이 돌연 입원했다는 소식에 지역정가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997년 대선때 90% 이상 지지를 받을 정도로 지금도 호남사람들에게 `절대적인' 신망을 받고 있고, 노벨평화상까지 받은 `인권의 상징'인 김 전대통령이 도청의 가해자가 된 상황에서 호남민심은 남다를수 밖에 없다.

지역정가에서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시각은 정파입장에 따라 약간의 온도차가 있다.

열린우리당 광주시당 윤명국 공보국장은 11일 "지역민심은 도청보다는 어려운 경제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초첨이 맞춰져 있다"면서 "이번 도청정국을 통해 구태정치인들이 정리되는 계기가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 광주시당 임홍채 사무처장은 "대북송금 특검법과 호남고속철도 착공지연에 이어 국민의 정부때 도청이 자행됐다고 참여정부가 밝힌 것은 호남민심은 안중에도 없다는 반증"이라며 "김 전대통령 입원이 내년 지방선거때 민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민들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수십년동안 불법도청의 피해자인데도 가해자로 몰리게된 현실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속에 이번 도청과 김 전대통령 입원 사태를 `차분하게' 지켜보자는 목소리도 나왔다.

참여자치21 박광우(38) 사무처장은 "호남사람들이 DJ의 입원사실에 심정적으로 흔들리는 것이나 정부가 구체적 정황제시 없이 서둘렀다는 느낌만 준 발표로 온갖 추측의 빌미를 제공한 것 모두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그러나 음모론으로 술렁이는 분위기에 편승하기보다 냉정하게 상황을 분석, 그동안 쌓아온 호남의 정치적 성과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