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2 15:36 수정 : 2005.08.12 15:36

한나라당은 12일 광복 60주년을 기해 단행된 정부의 8.15 특별사면과 관련, "여권이 자신들이 원하는 인사들의 사면을 위해 야당 인사들을 들러리세운 것 아니냐"면서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특히 2002년 대선 당시 당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서청원 전 의원이 추징금 미납을 이유로 사면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서는 "정치적 의도가 있지 않겠느냐"는 불만스런 목소리도 많았다.

전여옥 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공평한 사면이 이뤄지기를 바랐었지만 전.현직 여권 인사들의 경우, 형도 제대로 살지 않은 경우도 포함됐다"고 비판하고, "이는 여권이 자신들이 원하는 사람을 사면하기 위해 (야당 인사들을) 들러리세운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맹형규 정책위의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 등도 추징금 미납을 이유로 사면이 보류된 적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서 전 의원만 이런 이유로 사면에서 제외된 것은 무슨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홍준표 의원도 "과거 홍인길 전 의원의 경우, 추징금 미납을 이유로 사면에서 제외된 적이 있으나 그것은 개인비리의 문제이고, 서 전 의원은 대선자금과 관련된 경우이기 때문에 사면에서 제외될 이유가 없다"고 공감을 표시했다.

당내에서는 "서 전 의원이 지난 대선시 야당의 선대본부장이었던 만큼 여권이 어떤 이유를 들어서라도 붙들어 두려 하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이와 관련, 서 전 의원측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최근 여권 주요인사가 불법정치자금 수수 관련 재판의 항소를 취하하면 사면 대상에 포함시키겠다는 입장을 전달해 와 고민 끝에 항소도 취하한 것"이라며 "그런데도 추징급 미납을 이유로 사면에서 배제한 것은 정치도의상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한편 이번 특사에 2002년 불법 대선자금 관계자만 포함된 데 대해 당 일각에서는 "97년 대선 때 (고초를 겪은) 이회성(, 서상목씨도 있는데 지난 대선 관련자들만 사면하게 돼 형평성 문제가 내부에서도 제기될 것"이라는 `복잡한' 기류도 감지됐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