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8 19:24 수정 : 2005.08.18 19:25

한 일 없이 2200만원, 회의 두번에 6400만원 사용내역 비공개-사무처 “활동비, 식사비 관행”

회의 한 번 열지 않았는데 2221만원을 쓴 기후변화협약대책특위, 회의 한번에 2294만원의 예산을 집행한 재해대책특위, 두 차례 회의에 6415만원을 집행한 신행정수도후속대책 및 지역균형발전특위….

 국회 운영위원회 소속인 심상정 민주노동당 의원은 18일, 국회 사무처가 제출한 지난해의 ‘국회 비상설특위 현황자료’를 분석해 특위의 이런 돈 씀씀이 실태를 공개했다.

심 의원의 분석을 보면, 지난해 활동한 13개 특위 가운데 기후변화협약대책특위는 단 한 번의 회의도 열지 않고 2221만원을 사용했다.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구성된 ‘신행정수도후속대책 및 지역균형발전특위’는 구성된 뒤 두 차례 회의를 하고 6415만원의 예산을 썼다. 회의 한번 하는데 3200만원이 든 셈이다. 재해대책특위와 규제개혁특위도 단 한 차례 회의를 개최한 것이 활동의 전부였는데, 각각 2294만원과 990만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3개 특위 전체에 배정된 예산은 3억7200만원으로, 이 가운데 3억3700만원이 집행됐다. 특위 중에선 남북관계특위(4800만원), 미래전략특위(4780만원), 국회개혁특위(5600만원), 신행정수도특위(6415만원), 정치개혁특위(4200만원) 등이 상대적으로 많은 예산을 사용했다.

특히 대부분의 특위는 예산의 사용내역이 담긴 영수증조차 제출하지 않은 채 ‘쌈짓돈’처럼 예산을 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심 의원 쪽은 “국회 사무처에 예산의 사용내역을 요구했더니 ‘특위 차원에서 알아서 쓰기 때문에 사용내역은 모른다’고 답했다”며 “관행적으로 특위 위원장과 위원들의 활동비나 식사비 등으로 쓰이고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