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27 10:42 수정 : 2005.09.27 10:42

한나라당은 27일 검찰 수사에서 지난 2002년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이 주장했던 `국민의 정부 조직적 불법 도청 의혹'이 사실로 확인되자 대여공세를 대폭 강화하고 나섰다.

한나라당은 당장 국정감사에서 국민의 정부 시절 국정원장 출신들을 줄줄이 증언대에 세워 진상을 밝히겠다고 벼르는가 하면, 노무현 대통령의 직접 사과를 요구했다.

일각에선 당시 도청 내용에서 드러난 한화그룹의 대한생명 인수를 둘러싼 의혹에 대해 진상규명이 필요하며, 감사원 감사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강재섭 원내대표는 노 대통령이 국민의 정부 도청 의혹에 대해 "기관 차원의 도청이 없었던 것 아니냐"고 언급했던 점을 상기하며 "(대통령의 언급은) 거짓말이고, 수사 가이드라인을 정해준 것"이라며 노 대통령의 직접 사과를 요구했다.

강 원내대표는 또 "전직 국정원장들을 국감 증인으로 채택해 불법도청에 대한 증언을 들어봐야 한다"며 공세의 고삐를 죄었다.

김무성 사무총장은 "당시 한나라당 주장이 무책임한 폭로가 아니라 사실임이 확인돼 다행"이라면서 "당시 국회에서 책상을 치면서 부인하고 위증했던 인사들에 대해 책임을 물어 뿌리를 뽑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핵심당직자는 "당시 당에서 입수했던 문건 내용에는 2002년 3월 이후 도청된 내용도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이로써 당초 국정원이 `2002년 3월 이후 도청이 중단됐다'고 밝힌 것은 여당 대선 후보였던 노 대통령과 불법도청 의혹의 고리를 끊으려는 의도라는 게 드러났다"고 말했다.

김형렬 부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당시 도청 내용에서 드러난 한화의 대한생명 인수 로비설에 대해서도 상세한 조사가 원점부터 새로 진행돼야 한다"면서 "당시 노 대통령 뿐만아니라 현 여권 실세들의 이름이 대거 등장하는 만큼 이번 도청 시인을 계기로 거대한 권력비리가 있었는 지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의 이같은 대여공세는 불법도청 문제가 단순히 전임정부에서 있었던 `과거사'가 아니라 현 정부와 연관된 `현재진행형의 문제'임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한나라당은 당시 도청문건을 폭로했던 정형근 의원과 김영일 전 사무총장에 대해 통신비밀보호법 위반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데 대해 "사건의 본질을 왜곡하려는 물타기"라며 반발했다.

김병수 기자 bingsoo@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