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30 10:58 수정 : 2005.09.30 10:58

17대 국회 출범 이후 정책사안별로 `애증관계'를 보여왔던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이 그간의 느슨한 정책연대를 강화할 수 있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는 듯 하다.

민노당 조승수 전 의원이 대법원 확정판결로 의원직을 상실함에 따라 민노당이 법안 단독 발의요건인 원내 10석에서 한 석이 모자라는 한계를 안게 됐기 때문이다.

정책공조에 있어 그 동안 아쉬운 입장이 열린우리당이었다면 이제는 민노당이 그나마 원내에서 `주파수'를 맞출 수 있는 파트너를 찾자면 우리당에 손을 내밀 처지가 된만큼 연대와 제휴가 좀더 활성활될 것으로 관측된다.

천영세 의원단 대표는 이를 반영하듯 "당 차원의 법안 단독발의는 불가능하게 됐지만 뜻을 같이 하는 다른 당 의원들을 모아 한 치의 빈틈도 없는 의정 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리당은 한결 여유로운 상태에서 이번 기회에 민노당을 확실한 `여당의 백기사'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우리당 원내 핵심관계자는 "민노당의 원내 의석 변화는 큰 문제가 안된다"며 "민노당과의 사안별 연대나 공조는 계속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게다가 여당 내에서는 향후 민노당과의 전략적 관계를 고려해 민노당이 `실지회복'을 노리는 울산 북구 재선거에 후보를 내지 말자는 주장이나 연합공천을 하자는 얘기마저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노무현 대통령의 `소연정' 구상도 이번 정기국회에서 초보적인 단계의 `실험'을 거치지 않겠느냐는 얘기도 나온다.

한나라당과 손을 맞잡는 노 대통령의 대연정 제안에 반발해 당내 개혁성향 의원들이 민노당과의 소연정을 강력히 주장해온 만큼 여당 입장에서도 소연정으로 U턴할 수 있는 조건과 명분을 갖춰진 셈이다.

이와 관련, 임종인 의원은 "민노당이 서민, 노동자를 위한 법안을 자유롭게 발의하지 못한다면 이는 민족과 역사를 위해 매우 애석한 일"이라며 "민노당이 의석 1석을 확보할 때까지 당리당략적 법안이 아니라면 민노당의 모든 법안 발의를 함께 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