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정보고서 아닌 독일 총선보고서..대사 당연한 임무"
청와대는 7일 대연정 논의 진행상황이 포함된 '독일총선 전후 정치분석' 보고서의 여론주도층 발송을 두고 "연정 논의를 다시 하려는 것이냐"는 의구심이 야당 일각에서 제기되자 "결코 아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청와대 당국자들은 이날 "대연정 문제를 지금 재록려는 것이 아니다"는 공통된 반응을 보였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연정이라고 특화해서 봐서는 안된다"며 "대통령이 중미 순방 귀국길에서 밝힌 대로 비정상적 사회체제를 해결하는 각국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들여다볼 필요에서 진행한 것"이라고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와의 지난달 7일 회동 을 계기로 사실상 철회했던 연정론에 대한 공론화를 다시 시도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게 김 대변인의 설명이다. 이 같은 언급은 노 대통령이 보고서 발송을 지시한데 대해 한나라당이 "대통령이 아직도 연정의 꿈을 버리지 못한 것 아니냐"는 경계의 시선을 던지고 있는 점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나라당의 거부로 비록 대연정은 접었지만, "대결과 분열의 정치구조로는 미래에 다가올 여러 위기요인에 대처할 수 없다"는 노 대통령의 근본적인 문제의식에 대해서 여론주도층이 함께 공유해보자는 취지라는 것이 청와대 설명이다. 대연정은 무산됐지만, 갈등의 연원은 해소되지 않은 만큼 새로운 대안이라도 함께 모색하기 위한 고민을 해보자는 뜻으로 여겨진다.노 대통령이 지난달 대연정 논의를 접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큰 틀에서 우리 정치문화를 고치고 정치혁신을 위한 방안 모색에는 계속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고, 중미순방후 귀국 굳간담회에서 "효율적인 국가운영방안을 다른 나라 사례과 비교.검토해보겠다"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라는 것이다. 실제 청와대 내부 분위기도 대연정 자체를 다시 공론화할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달 연정론을 접으면서 그동안의 연정 드라이브가 전술적으로 실펌다고 자체 분석한 바 있다. '연정' 이슈 자체가 수단이 아니라 목적인 것처럼 비쳐져 대통령의 문제의식은 실종돼 버려 국민적 공감대를 이끌어내는데 실펌다는 것이다. 이 같은 진단은 대연정의 철회가 곧 '미래 위기에 대처할 사회적 합의구조 도출 필요성'이라는 노 대통령의 문제의식의 철회는 아니라는 얘기이다. 때문에 노 대통령은 '전술의 변화'를 통해 우선 문제의식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정치권의 호응과 국민의 여론을 지켜보면서 대연정이 아닌 다른 방식의 혜을 '화두'로 제시할 시기를 저울질할 것이라는게 대체적 관측이다. 그 시기는 정기국회가 끝나는 연말이나 연초일 것이라는게 정치권의 지배적 해석이다. 한편 이수혁 주독일대사가 보고서를 청와대에 보고한 동기와 배경을 놓고 타당성 논란이 일고 있는 것에 대해 청와대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대변인은 "대통령이 연정 관련 보고서를 올리라고 지시한 바는 없다"며 "그 나라의 사회 갈등 극복 방안 등에 대해서 주재국 대사들에게 자료를 요청한 적은 있으며, 이번 보고서도 '독일 연정 보고서'가 아니라 많은 관심속에 치러진 '독일 총선 보고서'"라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또 "대사가 주재국의 정치 상황, 정치지형, 사회체계 등에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것을 조사.연구하고 본국에 참고토록 하는 것은 당연한 대사의 임무"라고 덧붙였다. 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