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회찬 민주노동당 의원.
|
법제처장 국감장서 한자시험 ‘혼쭐’
법제처에 대한 국회 법사위의 10일 국정감사에 서 민주노동당 노회찬 의원이 김선욱 법제처장을 대상으로 즉석 `한자시험'을 실시해 눈길을 끌었다. 6번째 질의자로 나선 노 의원은 법제처가 추진중인 `법률한글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안' 관련 질의에 앞서 김 처장에게 "특별법에 따라 바뀌게 될 법률용어 등 한자의 음과 뜻을 몇가지 물어보겠다"며 총 10개의 한자문제를 제출했다. 노 의원이 즉석 한자시험을 실시한 것은 법률한글화법이 단순히 한문에 한글음을 다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기 위한 것으로, 총 10개 문제 가운데 `장리'(掌理.일을 맡아서 처리함), `삭도'(索道.케이블카 등의 케이블), `정려'(精勵.부지런히 일함) 등 3개 문제는 뜻을, `몽리'(蒙利.저수지 등 수리시설의 혜택을 입음) 등 나머지 7개 문제는 음과 뜻을 물어보는 문제였다. 다소 당황한 김 처장은 노 의원이 제출한 문제를 애써 풀려 했지만 결국 2개 문제를 맞추는데 그쳤다. 노 의원은 김 처장에게 한자성적을 친절히 알려주며 "법제처 장관이 문제를 틀린 것은 하나도 이상하지 않은 일"이라면서 "국어사전에도 등장하지 않는 단어가 버젓이 법전에 등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노 의원은 이어 "오늘 퀴즈를 풀면서 장관이 느낀 고충이 바로 일반 국민이 평소에 느끼는 고충"이라면서 "법률한글화 사업은 단어에 음을 다는 수준에 그쳐서는 안되며 특히 `구거'를 개울로, `정려'를 노력으로 바꾸는 식으로 단어자체를 실생활에 쓰이는 쉬운말로 바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 처장은 "법무부와 협조해 한문을 단순히 한글로 바꾸는데 그치지 않고 우리 언어로 순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특히 국어전문가를 채용해서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검토하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