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현장] 한나라, 국회 운영위서 청와대 비서진 `맹공'
국회 운영위원회의 11일 대통령 비서실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한나라당 의원들이 대통령 비서진을 향해 맹공을 펼쳤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이병완 비서실장과 조기숙 홍보수석을 주요 타깃으로 삼아 이들의 경력과 대언론관을 문제삼으며 집중포화를 퍼부었다. 김기현 의원은 이날 오후 열리는 운영위 전체회의에 앞서 미리 배포한 질의자료를 통해 "이병완 비서실장이 5공화국 초기 옛 치안본부 산하 내외정책연구소에서 근무한 경력과 관련, 경찰청에 문의한 결과 인사 자료가 전혀 남아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공무원 인사자료는 영구보존 자료로 관리돼야 한다"며 "청와대가 비서실장의 과거 경력이 문제가 될 것 같으니 고의로 자료를 숨기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태희 의원은 "조기숙 수석은 최근 `여론과 민심은 다른 것이다'는 궤변을 했다"며 "여론이 중요하지 않고 지지도에 신경쓰지 않겠다면서 왜 변명을 하려 하는가"라고 지잘다. 나경원 의원도 "청와대 인사들은 현실을 인정하기 싫은 이상주의자들이 모인 집단"이라며 "청와대는 정권 비판적 언론에 대해 입맛에 맞지 않는 기사라는 이유로 면밀한 조사없이 대응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함께 전날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의 `대연정 종결' 언급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대통령의 연정 관련 발언과 향후 정계 개편 가능성도 논란이 됐다. 임태희 의원은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 정무점검회의는 재집권을 위한 전략 회의체"라며 "대통령의 최종목적은 연정이 아니라 새로운 판짜기로 정권재창출을 성공시켜 퇴임후 보호장치를 마련키 위한 내각제로의 개편"이라고 밝혔다.한편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청와대 인사시스템을 다시 도마 위에 올렸다. 김동철 의원은 "현재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은 주로 문서에 의존하고있어 살아있는 현장검증이 필요하다"며 "검증시스템을 재정비하고 공기업, 산하기관인사에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병호 의원은 "청와대 비서실은 부처를 리드해야 하는 지위에 있기 때문에 보다 경쟁력있는 공채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지잘다. 신학용 의원은 "중앙인사위가 제출한 정무직 공무원 현황에 따르면 참여정부 출범 이후 장.차관급을 거친 사람은 323명으로 영남출신이 36.8%, 호남이 27.5%를 차지한 반면 인천은 1명, 제주도는 2명에 불과했다"며 "지역편중현상 해소를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