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0.19 17:51 수정 : 2005.10.19 17:51

`지역당 출현' 비판속 `군소정파 연대' 촉각

심대평 충남지사가 주도하는 `국민중심당'(가칭)이 19일 공식 창당을 선언하면서 신당의 향후 진로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내년 5월 지방선거와 2007년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중부권을 중심 축으로 하는 하는 신당의 태동이 정치권의 지형변화를 불러올 촉매제가 될 수도 있다는 관측에서다.

특히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그리고 좌파색깔을 분명히 하고 있는 민노당을 제외한 민주당과 자민련 등 군소정당들이 신당과 어떤 관계를 설정하느냐에 따라 정치권의 무시못할 핵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신당의 등장은 우선 행정수도 이전 결정 과정에서 `힘의 열세'를 느낀 대전.충남권의 민심을 등에 업고 탄생한 것인 만큼 앞으로 정치권에서 충청권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통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자민련이라는 `통로'가 있었지만, JP(김종필 전 총재)의 정계은퇴 이후 급격히 힘을 잃으면서 최근 각종 선거에서 연전 연패, 사실상 정당의 역할을 상실한 상황에서 신당이 과거 자민련의 역할을 대신하지 않겠느냐는 얘기다.

또 신당이 반 열린우리당, 비 한나라당 색채를 표방하고 나선 만큼 열린우리당, 한나라당과 함께 향후 충청권 표심을 놓고 한판 승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신당의 등장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계 안팎에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정계개편론을 더욱 촉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차기 대권주자로 현 단계에서 가장 높은 여론의 지지를 받고 있는 고 건 전 총리의 영입 가능성과 최근 제3당으로 올라선 민주당과의 연대 가능성은 물론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내 보수 세력과 손 잡을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당측이 "지방선거에서의 연합공천"을 벌써부터 언급하고 나선 것도 제 군소정치세력간의 연대가능성을 한층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신당은 그 가능성 만큼이나 한계 역시 무시할 수 없다는 평가가 많다.

현재 신당 구성인원의 대부분이 자민련 출신이고, 아직까지 기타 지역에는 변변한 조직조차 구성하지 못한 만큼 또 하나의 `지역정당 출현'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 JP라는 `보스'를 중심으로 한 자민련의 정치 행태를 탈피하고자 했다고는 하지만 `포스트 JP'를 표방하고 나선 심대평 지사를 중심으로 한 정치 결사체가 아니냐는 일각의 지적도 부담이다.

이와 함께 신당 참여인원 중 현역의원이 무소속 3명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실체와 달리 `과대포장' 됐다는 시각도 있어 빠른 시일 내에 당세를 키워야 한다는 과제도 안고 있다.

신당이 파괴력을 인정받아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을지, 아니면 `찻잔속의 태풍'으로 끝날지는 내년 5월 지방선거가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한편 열린우리당 전병헌 대변인은 신당 창당에 대해 "축하할 일이나 새로운 지역당에 머물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고, 전여옥 대변인도 "지역정당이 아닌 대한민국 정당으로 일조하기 바란다"며 다소 냉소적 반응을 보였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