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0.22 11:42 수정 : 2005.10.22 14:31

오는 10.26 재선거부터 내년 5월 지방선거에 이르는 정치일정과 연말 또는 내년초 예상되는 개각으로 현재 여권 내에서는 대권 예비주자들의 당 복귀를 놓고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우선 열린우리당발로 정동영 통일장관과 김근태 보건복지 장관의 조기 복귀설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이 총력체제를 갖춘다는게 그 이유다.

더욱이 이번 10.26 재선거에서 열린우리당이 `4패'라는 최악의 성적을 거둘 경우 당내에서 제기되는 두 장관의 `조기 복귀' 주장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여기에 `미래의 위기요인에 대처하는 사회적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노무현 대통령의 구상도 이들 장관의 복귀 시점에 있어 일정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는 대화와 타협의 정치구조와 정치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찾으려는 노 대통령의 의지와도 연결돼 있는 만큼 당.정.청 전반의 인적 개편으로 이어질 소지가 다북다.

또한 대연정은 이미 물건너갔으나 민주노동당, 민주당 등과의 이른바 소연정 내지 `민주대연정' 카드는 아직 폐기됐다고 할 수 없는 만큼 이 역시 고려요인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여권의 `새판짜기'는 연말연초 당의 공론화 과정을 거쳐 서서히 가닥이 잡히고, 이는 개각과 뗄 수 없는 상관관계에 있는 만큼 노 대통령 결단의 종착점이 될 전망이다.

그 핵심은 정동영, 김근태 두 장관과 이해찬 총리의 거취이다. 현재 여권의 기류를 살펴보면 이 총리와 정동영, 김근태 두 장관의 `복귀시점 분리'가 유력해 보인다.


만약 당의 요구를 받아들여 내년초 두 장관의 당 복귀가 이뤄진다고 가정하더라도 이 총리의 복귀는 그 이후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서 딱 잘라 말할 수는 없지만 총리는 남아있을 수 있다"고 말했으며, 다른 관계자는 "총리는 당분간 나가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들은 "일을 잘하기 때문에"라고 설명한다. 청와대 내에서 "이 총리였기 때문에 분권형 국정운영이 가능했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오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최근 국회 시정연설을 통해 제안된 `국민대통합 연석회의'라는 새로운 사회적 대타협 실험을 이 총리가 맡게 된 것도 이 총리에 대한 노 대통령의 신뢰를 보여주는 사례다.

동시에 주로 타의에 의해 여권내 대선 예비주자로 거론되는 이 총리가 스스로 대권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지 않고 있는 것도 총리로서의 `롱 런'을 점칠 수 있는 이유중 하나다.

정동영, 김근태 두 장관의 복귀 시점을 놓고는 관측이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두 장관이 연초에 당에 복귀하기로 대통령과 얘기했다"는 말도 나오나 "결정되지 않았다"는게 청와대측 설명이다.

이는 두 장관이 마음의 결정을 못한 측면도 있어 보인다. 여권의 핵심관계자는 "두 장관쪽 모두 `나갈 것'이라는 얘기와 함께 `나가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가 함께 나오고 있다"며 "아직은 불투명한 상태"라고 말했다.

김범현 기자 kbeom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