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0.26 22:46 수정 : 2005.10.26 22:46

현대차 노조와 소원.. 적극 지지 못받아

노동운동에서 지방정치를 거쳐 국회에 까지 진출한 민주노동당이 가장 든든한 정치적 기반인 울산 북구를 잃었다.

울산 북구는 민주노총 핵심 사업장인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이 소재해 북구에 거주하는 이 회사와 협력업체 근로자만 2만명을 넘으며, 가족을 합하면 전체 유권자의 60-70%가 민노당이 지지층으로 꼽고 있는 근로자와 그 가족이다.

이 때문에 노조의 정치참여가 처음 허용된 지난 98년 지방선거 때부터 노동계 후보가 구청장에 당선돼 정치세력화에 성공했고 지난 해 17대 총선에서는 조승수 후보가 당선되면서 마침내 원내 진출의 꿈을 이룬 곳이다.

이런 노동계 텃밭에서 그것도 조승수 전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치러진 재선거에서 실지를 회복하지 못하고 한나라당에 패배한 것은 당으로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민노당의 가장 큰 패인은 선거과정에서 빚어진 당과 민노총 간의 갈등때문에 현대자동차와 협력업체 근로자들의 표를 결집시키기 못한 데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민노총 핵심 사업장인 현대자동차노조와 민노총울산본부는 민노당의 북구 재선 후보 경선 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기를 바랐으나 민주노동당이 현대자동차 노조와 민노총이 지지후보를 내기도 전에 거의 일방적으로 후보경선을 치러 소원해지기 시작했다.


98년 지방선거에서 국민승리21과 민노총이 후보를 공동으로 공천했고 2002년 지방선거에서는 민노당과 민노총이 범민주 단일후보를 내는 등 두 조직이 선거 때마다 공조해 왔다.

이 때문에 이번 선거에서 현대자동차노조는 "급할 땐 손을 내 밀더니 이제 와서 후보경선 과정에서 조차 배제시킬 수 있느냐"고 불만을 쏟아내며 선거초반 거의 방관적인 입장을 취했다.

여기다 현대자동차 노조위원장 선거가 임박한 시점이어서 대립과 갈등이 심한 10여개의 이 회사 현장 노동조직의 특성으로 볼 때 정갑득 후보가 노조위원장 출신이라는 점 만으로 모든 조직들이 하나로 뭉쳐지기 어려웠던 이유도 있었다.

노동 조직간 이해득실을 따지지 않는 현장 근로자들도 최근 민노총의 간부 비리 사건이 불거지자 크게 실망해 민노당 후보 지지에까지 적극적이지 않았던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선거 막판 현대자동차 노조가 '진보정치의 위기'를 호소한 민노당에 동조적 입장을 취하기 시작하면서 조합원들을 독려하기 시작했으나 전세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민노당이 가장 큰 기반을 되찾아 정치세력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과거 연대해 온 민노총이나 현대자동차 노조와의 정치적 연대관계를 재정립하지 않으면 안될 것으로 보인다.

서진발 기자 sjb@yna.co.kr (울산=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