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1.02 09:54 수정 : 2005.11.02 09:54

집행위 묘안찾기 심야토론 강행군

열린우리당이 10.26 재선거 참패 후 겪고 있는 위기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골몰하고 있다.

과도지도부 성격인 비상집행위는 2일 심야토론을 열어 당안정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날 토론회에는 당의 `싱크탱크'인 열린정책연구원이 분석한 당내 위기의 원인과 해법이 보고될 예정이다.

집행위는 전날에도 심야토론을 열고 이달 중 `열린우리당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한 전문가 초청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사회원로, 종교단체의 의견을 청취키로 했다.

내년 초 전당대회까지 한시적으로 당을 관리하는 것이 주된 임무인 집행위가 이처럼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것은 최근 당내 상황에 대해 위기 의식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문희상 전 의장이 재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지만, 한번 불거져 나온 당내 계파간 갈등은 그 원인을 정확히 진단해 처방을 내리지 않을 경우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당내 각 계파들도 집행위의 역할에 동의하는 모습이다.

재야파가 중심이 된 민평련 이사장을 맡고 있으면서 집행위에도 참여하고 있는 이호웅 의원은 집행위 활동과 관련, "내년 전당대회를 제2의 창당으로 생각하고 제2창당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내달 중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참정연 대표를 맡고 있는 이광철(光) 의원은 "집행위는 우리당의 창당 정신을 점검하면서 위기를 극복할 처방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집행위가 복잡하게 얽힌 당내 각 계파들의 이해관계와 충돌하지 않으면서도 실효성있는 해법을 내놓을지는 미지수다.

당장 당내 다수파가 "각종 선거 때마다 우리당 후보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근원"이라고 주장하는 기간당원 조항에 대해서는 친노그룹이 강력한 사수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집행위가 기간당원 조항을 건드리는 방향의 해법을 내놓을 경우 당내 계파간 갈등은 일파만파로 번질 수 있다.

당내 각 계파와 각 그룹이 벌써부터 이런저런 `훈수'를 두는 것도 집행위의 활동을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들이 제시하는 해법에 대해 다른 계파들이 적극 반대하는 경에 많기 때문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측근이자, 호남지역 의원들 사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염동연 의원은 KBS 라디오에 출연해 "전통 민주개혁세력이 재결집하지 않는다면 누가 당에 와도 소용이 없다"며 조만간 민주당 한화갑 대표와 회동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민주당과의 합당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안영근 의원은 노 대통령의 탈당과 함께 당헌 개정을 주장했다. 기간당원제를 전면 수정하고, 전당대회의 당의장 투표 방식을 현행 1인2표에서 1인1표로 바꾸자는 것이다.

고일환 기자 koma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