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위 해체..`정기 전대' 성격 띨듯
내년초로 예정된 열린우리당의 임시 전당대회가 제2창당에 준하는 새판짜기로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10.26 재선거 이후 일괄 사퇴한 상임중앙위원들만 새로 뽑는 `부분개편'의 차원을 넘어 전체 중앙위원들을 완전히 물갈이하는 쪽으로 판 자체가 뒤바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 이는 바꿔말해 이번 전대의 성격이 `임시 전대'가 아닌 `정기 전대'로 바뀐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어서 당의 진로와 역학구도에 심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분석된다. 당의 위기타개책을 논의하기 위해 1일 저녁 소집된 비상집행위원회 토론회에서는 중앙위원회를 새로 선출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는 후문이다. 한마디로 현 중앙위원회를 완전히 해체하고 판을 새로 짜자는 얘기다. 중앙위원회의 사령탑인 상중위원들이 선거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퇴한 마당에 중앙위원들이 현직을 그냥 유지하는 것은 명분상 맞지 않는만큼 짝에 `새술은 새부대에 담자'는 것. 한 집행위원은 "이번 선거의 책임은 상중만이 아닌 모든 중앙위원들에게 해당된다는게 많은 분들의 생각"이라며 "올해초 국보법 파동의 책임을 지고 지도부가 물러난 이후 전대를 통해 중앙위원을 새로 뽑은 전례를 상기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전대의 성격이 바뀐데는 우리당 임시지도부가 전날 `간판'을 임시집행위에서 비상집행위로 바꾸고 `제2의 창당'을 목표로 내건 행보와도 맥을 같이한다.체질과 골격을 완전히 바꾼 당을 새로운 지도부에게 넘겨주는 쪽으로 과도체제의 역할이 다시 규정된 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내 최고의결기구인 중앙위원회의 `새판짜기'는 당내 세력판도에 근본적 질서재편을 수반한다는 점에서 당내에 적잖은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99명에 달하는 중앙위원들은 각 계파가 지탱하고 있는 당내 기반의 중심축을 이루면서 내년 지방선거 공천은 물론 대선 경선준비 과정에서도 적지않은 영향력을 행사할수 있는 자리다. 따라서 집행위내의 기류처럼 중앙위를 재구성하는 `정기 전대'로 전대의 성격이 바뀐다면 계파간의 `전면전'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어 보인다. 현재 중앙위의 세력분포는 정동영 장관계와 김근태 장관계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개혁당파, 친노직계 등이 소수지분을 갖고 있지만 전대를 거치면서 급격한 지형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특히 정기 전대로 갈 경우 새로 구성되는 지도부의 임기(2년)가 2008년 2월까지여서 대선을 관리하게 되는 점이 주목된다. 차기주자 진영으로서는 이번 전대에 승부수를 걸어야만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하지만 중앙위원회 재구성을 놓고 당내 개혁당파를 중심으로 강한 반발세가 형성되고 있어 당내 논의과정에서 첨예한 갈등이 예고되고 있다. 유시민 의원은 지난달 31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중앙위 해체 주장에 대해 "다수파의 쿠데타 음모"라고 강도높게 비판한 바 있다. 유 의원은 "집행기구인 상임중앙위원회가 사퇴했는데 당내 대의기관인 중앙위까지 해산하면 국회도 없는 무정부상태가 되는 것이고, 비상대책위원회가 국가보위입법회의 처럼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참여정치연구회 대표인 이광철(光)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단순히 집행적 성격에 그쳐야할 비상집행위가 과대망상을 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중앙위 해체는 중앙위 의결을 거쳐야할 사안"이라고 비난했다. 이처럼 개혁당파들이 반발하고 있는 것은 당내 주류가 중앙위원회를 해체시킨 뒤 자신들이 주창하고 있는 기간당원제를 변형시킬 것이라는 의구심을 품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올해초 새로 구성한 중앙위원회를 또다시 선출할 경우 비용과 시간이 너무 든다는 점에서 반대하는 의견도 적지 않아 추후 당내 논의과정에서 뜨거운 논란이 예상된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