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1.03 11:14 수정 : 2005.11.03 11:14

기간당원제 완화.유지 최대쟁점

열린우리당의 창당정신과 기본노선을 담은 당헌.당규 개정문제가 내년초 전당대회를 앞두고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당내 계파들은 사안의 민감성을 의식한 탓에 겉으론 말을 아끼고 있지만 물밑에서는 시퍼렇게 날이 선 `칼끝 대립' 양상이 전개되고 있는 분위기다.

특히 `노심(.노무현 대통령의 마음)'의 소재를 놓고 동상이몽식 해석을 내놓는 신경전까지 감지되면서 당내 갈등의 또 다른 불씨로 작용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당헌.당규 개정의 핵심쟁점은 기간당원제 개선이다. 4.30 재.보선 이후 뚜렷한 해답없이 논란만 무성했던 이슈이지만 당의 위기타개를 내건 과도체제가 들어서자 즉각 개정여부가 화두로 대두하고 있는 것.

정동영 장관계를 주축으로 한 당내 주류는 현 기간당원제가 정치현실과 동떨어져있다며 대폭적인 손질이 불가피하다는 쪽으로 분위기를 잡아가고 있다. 여기에는 DY계와 함께 당내 세력을 사실상 균점하고 있는 김근태 장관계도 동조하고 있다.

당장 발등의 불로 떨어진 내년 지방선거 공천에 대비해야할 여당으로서는 지나치게 엄격한 원칙에 얽매여있는 기간당원제를 현실에 맞게 정비해야 한다는 것.


한 집행위원은 "기간당원제의 기본 취지는 옳지만 제도의 특성상 참신한 후보영입이 쉽지 않고 당비 대납 등의 부작용이 크다"며 "이대로 가다간 내년 지방선거에서 또다시 패퇴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미 당내에서는 현재 당비납부 기간 6개월 및 경과기간 2개월로 정해진 기간당원의 요건을 완화하고, 공직후보 선출시 국민참여경선 과정에서 일반당원의 참여를 허용하면서 여론조사를 함께 반영하며, 전략공천을 위한 피선거권 규정을 완화하는 쪽으로 당헌과 당규를 개정하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정동영계를 중심으로 한 기간당원제 개선 움직임에는 `노심'의 소재를 확인했다는 판단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듯한 분위기다.

지난 29일 열린 당.정.청 수뇌부 비공개 회동에서 노 대통령이 당헌.당규를 개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는게 정장관 진영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관계자는 "대통령이 조심스럽게 기간당원제를 손질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 개혁당파 출신이 주도하는 참여정치연대(참정연)는 "기간당원제를 변형 내지 후퇴시키려는 기도"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참정연 대변인인 김희숙 중앙위원은 "시험보기 두달 전에 대입제도를 고치자는 것과 다름없다"며 "특히 당헌까지 건드리겠다는 발상은 기간당원제의 근간을 뒤흔들겠다는 것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다만 당헌을 기초로 한 구체적인 선출제도를 정하는 것 정도는 논의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다시말해 국민참여경선 과정에서 일반당원이 참여하는 정도의 `순 개정' '은 허용할 수 있지만 기간당원의 요건 완화와 여론조사 실시 등의 `대폭 개정'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

정동영계와 비교하면 손질의 폭과 강도에 대한 시각차가 현격한 셈이다.

참정연은 특히 `노심'도 기간당원제 개선에 있지 않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노 대통령이 언급한 당헌당규 개정은 기간당원제를 겨냥한게 아니라 당의장과 원내대표로 이원화된 `투톱시스템'을 재정비하라는 뜻이라는게 참정연의 주장이다.

당헌.당규 개정의 의결절차를 놓고도 당내 주류세력과 참정연은 서로 다른 주장을 펴고 있다.

정동영계는 비상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당헌.당규 개정안을 만든 뒤 최고 의결기구인 전당대회에서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참정연측은 중앙위원회 의결을 거쳐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다만 당내의 전반적 분위기는 기간당원제를 어떤 식으로든 손질해야 한다는 쪽으로 모아지고 있다.

정세균 의장이 당헌.당규 개정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굳히고 있는데다 참정연측도 초반의 반발세가 다소 누그러지면서 부분적인 보완에는 동의하고 있는 기류이기 때문이다.

참정연에 속한 유시민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의와 전화통화에서는 "당헌.당규의 문제가 있고 다수의 공감을 얻는다면 당연히 고쳐야 한다"며 "다만 정상적인 절차를 가지고 논의해서 합의된 만큼 바꾸고, 안되면 의결해서 바꾸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8일 중앙위-의원총회 연석회의에서 기간당원제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이야기기 나오자 "나가라는 말로 밖에 해석이 안된다"고 강하게 반발했던 것과는 다소 톤이 낮아진 듯한 뉘앙스다.

그러나 양측 사이에 개정의 폭과 강도를 둘러싼 시각차가 워낙 큰데다 해묵은 대립과 반목이 자리잡고 있다는 점에서 양측 갈등이 심상치 않은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